비트코인? 발행주체없는 가상화폐… 돈세탁 등 우려

  • 사람들
  • 뉴스

비트코인? 발행주체없는 가상화폐… 돈세탁 등 우려

  • 승인 2016-05-03 13:5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 게티 이미지 뱅크
▲ 게티 이미지 뱅크

디지털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개발자가 7년 만에 진짜 얼굴을 드러내 화제입니다. 호주 사업가 겸 컴퓨터공학자인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 씨(45)가 주인공이라고 합니다. ‘비트코인’이 2009년에 처음 선보인 뒤 수많은 궁금증을 낳았던 개발자의 정체가 드러난 셈입니다.

한경경제용어사전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미국발(發)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이름으로 위장한 정체불명의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창안했습니다.

그동안 ‘가상화폐’는 비트코인 외에도 많았습니다. 인터넷 서비스마다 자기만의 가상화폐를 만들어서 싸이월드는 ‘도토리’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비트코인이 특히 주목받는 점은 이른바 한국은행 같은 ‘발행주체’가 없는 돈으로 주인이 없는 가상화폐라는 점입니다.

비트코인의 핵심은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회사 등 어떤 중앙집중적 권력의 개입 없이 작동하는 새로운 화폐를 창출하는 데 있습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은 정부나 은행 같은 발행 기관의 통제 없이 P2P(다자 간 파일공유) 기술을 이용해 이용자들 사이에서 익명으로 거래됩니다. 은행을 거치지 않고 개인과 개인이 직접 돈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분산화된 거래장부’ 방식인 셈입니다.

비트코인은 비트코인 거래소에서 구입하면 됩니다. 인터넷에서 내려받은 ‘지갑’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뱅킹으로 계좌이체하듯 비트코인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완전한 익명으로 거래되기에 컴퓨터와 인터넷만 되면 누구나 비트코인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돈세탁이나 마약거래에 사용되는 문제점도 드러나고 있습니다.

유럽과 북미, 중국 등에서는 이미 현금처럼 쓰이고 있으며 한국에도 2013년 4월 ‘코빗’이라는 거래소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비트코인은 2013년에 최고가를 기록해서 1코인에 1147달러까지 시세가 폭등하기도 했었습니다.

비트코인은 통화 공급량이 엄격히 제한된다는 점에서 2009년에 미국이 막대한 양의 달러를 찍어내며 양적완화가 시작된 해에 달러화 가치 하락 우려가 겹치면서 비트코인이 대안 화폐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김의화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식장산 정상에 커피·라면 판매점… 관광 vs 상업화 평가 엇갈려
  2. 막 오른 4·2 재보궐, 탄핵정국 속 충청권 표심은?
  3. [설 연휴 사건사고] 천안서 채무 문제로 흉기 살인…폭설에 충청권 곳곳 교통사고 (종합)
  4. 국세청, 2025년 신규 세무사 700명 뽑는다
  5. '청년과 귀어인' 맞춤형 양식장 임대사업자 모집
  1. 해수부, 2024년 정부업무평가 '3개 부문' 우수기관 선정
  2. 대전보건환경연, 꿀벌 질병 예방교육 및 약품 지원
  3. 해수부, '국고여객선' 현대화 추진...수산 유통펀드사 공모
  4. 대전 동구, 과학 체험 '겨울방학 특집 갓생방학 with BIO'
  5. 해수부, 친환경 선박 81척 전환...해운 온실가스 감축

헤드라인 뉴스


[기획] 2. 행복도시 시발점 `1~2생활권`… 미완의 과제는

[기획] 2. 행복도시 시발점 '1~2생활권'… 미완의 과제는

세종시 행복도시는 2025년 또 어떤 밑그림을 그리며 2030년 완성기로 나아갈까. 큰 틀의 도화지는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건설에 있고, 그 안에 내용과 색채를 넣는 시간으로 승화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2027년 대통령 집무실과 2031년 국회 세종의사당부터 수도 지위에 걸맞은 위상을 갖춰 들어서야 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도시 기능과 요소들이 적기에 지연 없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선 2004년 행정수도 위헌 판결 이후 20여 년의 세월이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 해소를 가리키는 시계추..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지난해 대전 오피스 시장은 임대료가 오르고, 상가는 임대료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과 충북은 오피스 시장과 상가가 모두 하락했으며, 세종은 전국에서 집합상가 하락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22% 상승했다. 임대가격지수는 시장 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수치다. 세부적으로 보면, 서울은 4.78% 오르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고, 경기(2.60%), 대구(0.53%), 대전(0...

지난해 충청권 의치한약대 정시 등록포기 526명… 올해는 더 늘 듯
지난해 충청권 의치한약대 정시 등록포기 526명… 올해는 더 늘 듯

2024학년도 대입 정시에서 충청권 메디컬학과(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합격자 중 526명(163.9%)이 최종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집정원이 늘어난 2025학년도엔 중복합격자 증가와 등록 포기로 인한 추가합격 인원이 더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종로학원 분석에 따르면 2024학년도 정시 전국 의·치·한·약대 합격자 중 최종 등록포기는 3367명으로 모집정원 대비 136.4%를 나타냈다. 사실상 최초합격자 전원이 타 대학 중복합격으로 이탈했고, 추가합격자 중에서도 중복합격으로 인한 연쇄적 이탈이 발생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