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두끼도 안 먹는 쌀밥

  • 경제/과학
  • 지역경제

하루 두끼도 안 먹는 쌀밥

  • 승인 2016-04-04 17:28
  • 신문게재 2016-04-04 1면
  • 문승현 기자문승현 기자
쌀 연간소비량 30년 전 대비 절반수준
충남농협, 5일 쌀 소비 범시민 캠페인


5년차 직장인 A(32)씨는 직장생활 시작과 함께 독립해 대전에서 혼자 살고 있다. 오전 8시면 출근해 10시간 넘게 회사에 머무는 그는 하루 한끼 정도만 밥을 먹는 게 습관이 됐다.

A씨는 “타지에서 홀로 직장생활을 하다보니 삼시세끼 제대로 챙겨 먹는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다”며 “아침엔 출근준비로 바쁘고 저녁엔 회식 등 각종 모임에 나가야해 점심때가 아니면 밥 구경할 일이 잘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1인가구 증가와 서구화한 입맛으로 쌀 소비량이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4일 통계청의 ‘2015년 양곡소비량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가구부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2.9㎏으로 2014년 65.1㎏ 대비 3.4% 줄었다.

30년 전인 1985년(128.1㎏)과 비교하면 반토막 수준이다.

연간소비량은 2006년 78.8㎏에서 매년 2∼3%대 감소율을 보이다 2012년 69.8㎏으로 떨어졌고 올해엔 60㎏대도 무너질 거란 분석이 나온다.

2006년 216g이던 국민 1인당 하루 쌀소비량도 2010년 199.6g, 2013년 184g에 이어 지난해 172.4g으로 크게 줄었다.

성인이 먹는 밥 한공기를 평균 100g이라고 하면 하루에 밥 두끼도 채 먹지 않는 셈이다.

쌀 소비 부진으로 재고가 늘자 정부는 올초 가공·복지용 쌀 판매가격 인하, 사료용 쌀 공급 등을 골자로 한 ‘중장기 쌀 수급안정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올해 56만t을 처분해 재고량을 190만t에서 134만t으로 감축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양곡재고 적정수준을 80만t으로 보고 있다.

쌀 생산량으로 전국 1,2위를 다투는 충남을 관할하는 농협 충남지역본부(본부장 유찬형)도 5일 대전과 세종정부청사, 내포초교 등지에서 쌀 소비 촉진 범시민 캠페인을 열기로 하는 등 적극적인 행동에 나섰다.

유찬형 본부장은 “쌀이 부족해 분식장려운동을 펼친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쌀이 남아도는 시대가 됐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우리에게 식량 이상의 의미를 갖는 쌀의 영양학적 효능을 널리 알려 쌀 소비확산의 단초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문승현 기자 heyyu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발표 코앞… 대전 파급력 등 평가 긍정적 기류
  2. [월요논단] 대전 대기업 유치, 겉도는 헛바퀴
  3. 대전 상장기업 64개 넘어...올해도 달린다
  4. 대전시의회 조원휘 "안산산단 9부 능선 넘어"… 불필요한 책임공방 무의미
  5.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1. [오늘과내일] 역사 속 을사년
  2. 2025 대전 사회복지계 신년교례회 개최
  3. 더불어민주당 각급 위원회 발대식 "민주주의 회복과 사회대개혁 앞장"
  4. 세계로 가는 수자원공사 중동이어 아프리카 시장 진출
  5. 대전 동구, 주거 취약가구 환경 개선 위해 민관 힘 모은다

헤드라인 뉴스


의대 최초합격자 등록포기 수도권 줄고 비수도권 크게 늘어

의대 최초합격자 등록포기 수도권 줄고 비수도권 크게 늘어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시 모집에서 서울권 의대 최초 합격자의 등록 포기율은 감소한 반면, 비수도권에선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모집 정원 확대에 따른 중복 합격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16일 종로학원이 전국 39개 의대 중 2025학년도 정시 모집 최초 합격자 등록상황을 공개한 7곳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대·연세대·가톨릭대·이화여대 등 서울권 의대 4곳에서 최초 합격자 24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는 전년 28명보다 14.3% 감소한 수치다. 부산대·연세대 미래·제주대 등 비수도권 의대 3곳에선 17명이 등록을 포..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대전시는 '대전 꿈씨 패밀리'를 앞세워 도시브랜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 대전시는 꿈돌이에서 확장된 꿈씨 패밀리를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매력적인 도시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위해 ▲관광 상품화 ▲도시홍보 강화 ▲상품화 모델 구축 ▲온라인 강화 등 4개 추진 분야, 12개 중점 추진 과제를 설정하고 130여 개 세부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관광 상품화와 도시홍보 강화에 적극 나선다. 올해 상반기 대전관광공사 원도심 이전 등을 통해 관광 거점 공간을 마련하고, 서울안테나 숍 2호점..

오렌지 등 신선과일 수입액 역대 최대치... 14억 달러 넘었다
오렌지 등 신선과일 수입액 역대 최대치... 14억 달러 넘었다

오렌지, 파인애플 등 신선과일 수입액이 2024년 처음으로 14억달러(2조 220억원)를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4년 12대 주요 신선과일 수입액은 2023년(12억 500만달러)보다 20.1% 증가한 14억 4700만달러(2조 899억원)로 잠정 집계됐다. 12대 신선과일은 바나나, 파인애플, 망고, 아보카도, 포도, 키위, 체리, 석류, 블루베리, 오렌지, 레몬, 자몽 등이다. 2024년 수입액은 2018년에 기록한 직전 최대치인 13억 3200만달러보다 8.6% 많다. 신선과일 수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

  • ‘하늘아 예쁜 별로 가’…하늘에 띄우는 마음 ‘하늘아 예쁜 별로 가’…하늘에 띄우는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