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
설이면 빠질 수 없는 '윷놀이'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우리나라 대표적 놀이다. 두 편 또는 세 편으로 편을 나눠 윷을 던져 엎어지고 젖혀지는 결과를 갖고 말판에 말을 쓰면서 겨룬다.
한자로는 척사(擲柶)·사희(柶戱)라고 하기도 하는데, 윷을 '나무 네 조각'이란 뜻의 한자로 '사(柶)'라고 표현했다. 윷놀이는 농사의 흉을 점치고 개인적으로 한 해의 길흉을 점치는 점술도구로 시작됐다. 삼국·고려·조선시대로 이어지면서 점차 놀이로 변화해 오늘에 이르게 됐다.
윷가락은 네 개를 나란히 세워 잡은 후 보통 앉은키와 비슷하게 또는 조금 높게 던지면 된다. 4개의 윷을 던져서 엎어지고 젖혀진 상황에 따라 도·개·걸·윷·모로 결정된다.
윷가락의 평평한 면이 하나일 때는 '도', 두 개일 때 '개', 세 개일 때 '걸', 네 개는 '윷', 윷가락 모두 둥근 부분이 보이도록 엎어졌을 때는 '모'라고 한다.
▲널뛰기
널뛰기는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정확하게 알려진 것은 없다. 그러나 속설에 의하면, 감옥에 갇힌 남편을 보기 위해 여성들이 담 밖에서 널뛰기를 하여 감옥 안을 넘겨봤다는 이야기도 있고, 집안에 하루 종일 갇혀 있다시피 하는 여성들이 담 밖의 세상을 보기 위해 널뛰기를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널뛰기에는 널빤지와 널 받침만 있으면 된다.
널빤지 양쪽에 한 사람씩 올라간 후 처음에는 천천히 뛰기 시작한다. 이때 널빤지 가운데에는 한 사람 혹은 두 사람이 올라앉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만약 두 사람의 몸무게가 차이가 날 경우 가벼운 사람 쪽으로 널빤지를 더 길게 하면 된다.
널뛰기는 온몸을 이용하는 운동으로 체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박자에 맞춰 뛰어야하기 때문에 리듬감 형성에도 효과가 있다.
▲연날리기
연날리기는 정초에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갖가지 모양의 연을 하늘 높이 띄우며 노는 민속놀이다.
흔히 대나무로 살을 만들고 그 살 위에 종이를 붙여 장방형 또는 가오리 모양으로 형태를 구성한다.
연의 종류는 연의 형태와 문양에 따라 분류되며 그 종류가 100여 종에 이른다.
형태 면에서 살펴보면, 한국 연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사각 장방형의 중앙에 방구멍이 뚫려 있는 방패연이 대부분이다. 또 어린이들이 날리는 꼬리가 달린 가오리연이 있고, 사람·동물 등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자의 창의성에 따라 만드는 창작연이 있다.
연날리기는 높이 띄우기와 재주부리기, 연싸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즐겼다. 상대편의 연실과 비벼서 연실을 끊어 먹는 식으로 시합을 하기도 했다. 사나운 기운인 액을 보내고 복을 기원한다는 송액영복(送厄迎福)을 적어 날려 보내면 일 년간 나쁜 운수가 사라진다고 믿었다.
성소연 기자 daisy8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