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외 업무 과부하와 보상의 불공정성, 성장비전 결여, 메마른 조직문화 등도 이직과 퇴사의 이유였다.
충남도는 23일 LG경제연구원 박지원 선임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이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개인에게 부여하는 시간, 보상 등의 자원에 비해 수행해야 하는 업무가 많을 때 조직을 떠난다.
지속적으로 직장인들은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한국 선마이크로시스템사에서 직원들이 주말에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도록 한 결과 이직률이 하락했다.
직장상사와의 갈등은 가장 큰 퇴사 이유다. 미국 인적자원관리협회의 조사에서는 이직 원인의 75%가 직장상사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잡코리아 조사 결과로 나타난 최악의 직장상사는 후배 공을 가로채는 상사, 권위적인 상사, 퇴근 후나 주말에 일 시키는 상사 등이 지목됐다.
보상 차등에 대한 합당한 근거가 부톡할 때도 인재들은 직장을 떠났다.
노력 대비 보상 수준이 타인과 비교해 불공평하다고 느끼면 이직을 했다. 미국 사스사는 경쟁사에 비해 높지 않는 임금을 주는데도 실업평가와 단기인센티브를 위한 압박이 없어 이직률이 업계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승진 및 학습기회가 없어 발전가능성이 보이지 않을 때도 직장인들은 이직했다. 정서적으로 메마르거나 즐거움이 결여된 조직에서도 인재들은 이직을 선택했다.
사람은 일하는 기계가 아니며, 동료들과의 친밀한 인간관계 및 일의 즐거움을 추구한다는 설명이다.
박 연구원은 “중요한 것은 인재관리의 지속성으로 이벤트성 정책이 아닌 조직 문화를 바꿀 수 있는 지속적인 대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내포=유희성 기자 jdyh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