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는 이날 “우리 경제계는 최근의 수출 부진 극복과 우리 경제의 활력 제고에 한·중 FTA가 중요한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해왔다”면서 “이제 여야정 협의체가 비준동의안 처리에 합의한 만큼, 국회는 연내 발효가 반드시 실현될 수 있도록 비준 동의안을 즉각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이번 여야정 협의체에서 무역이득공유제 대안으로 민간기업, 공기업, 농·수협 등의 자발적 기부금을 재원으로 하는 기금 조성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은데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기금이 우리 농수산물에 대한 국내소비 활성화, 취약한 농어업부문 경쟁력 제고, 새로운 수출상품 육성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들은 “무역이득공유제 도입을 둘러싼 논란을 종식해 향후 체결될 FTA에서는 더 이상 무역이득공유제로 인해 국회의 비준 동의가 지연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당부했다.
이런 가운데 지역 유통업계에서는 FTA 비준동의안 처리 추진 합의에 대해,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중국 내수시장 공략의 기회가 넓어질 것이란 기대와 함께,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의 공세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기대가 큰 대표적인 시장은 온라인몰으로 중국 고객 유치를 위한 준비와 함께 중국발 역직구 시장에 진입하는 업체들의 확대로 이어지는 분위기다.
실제 지마켓은 이미 중국어 서비스를 도입했고, GS홈쇼핑과 11번가로 중문 홈페이지 오픈을 앞두고 있는 등 국내 온라인몰 업체들의 대륙 진입은 더욱 활발해지는 분위기다.
반면, 값싼 중국 제품의 유입으로 의류, 가공식품 업계에서는 적지 않을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역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은 여전히 싼 인건비를 내세워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국내 중저가 브랜드와 SPA업체의 가격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며 “국산 저가 가공식품 수입이 늘어날 경우 국내 식품시장 잠식 가능성도 높다”고 걱정했다.
이와 관련, 대전상공회의소는 “한·중 FTA는 우리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이번에 비준동의안 처리가 확정됨에 따라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앞장서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중소기업과 농업 등 취약분야의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박병주·박수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