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는 지난 13일 대전지방고용노동청 5층 대회의실에서 제43회 대전고용전략개발포럼을 열고 '대전지역 전략산업 육성 및 고용연계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했다. 대전고용노동청과 대전시가 공동 주최한 이날 고용포럼에서는 박준병 한밭대 경영회계과 교수(대전 전략산업과 고용창출)의 주제발표와 최현철 케이맥(주) 인사총무팀장의 사례발표에 이어, 패널들의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이날 고용포럼에서 제시된 대전 전략산업과 고용창출 방안 등을 들어봤다.<편집자 주>
2000년 이후 우리나라는 전략산업이 핵심산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핵심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는 수도권과 지방간 불균형 해소와 지방경제 활성화 계획으로 대구 등 4개 지역에 시범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 1999년 대구를 섬유산업 육성지역으로 2000년 부산(신발), 경남(기계), 광주(광) 등에 많은 예산을 투입해 시범사업에 나섰다.
대전은 2003년부터 정보통신, 바이오, 첨단부품소재, 메카트로닉스 등 4개 전략산업을 선정해 관련 하드웨어를 구축했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그동안 중점 추진 사업에 대한 구체화, 현실화, 세부화를 통해 조정에 들어가면서 대전은 무선통신 영역으로 구체화했다.
전략산업 이전 대전은 일반 산업단지가 주를 이뤘다. 2001년 대전 1ㆍ2ㆍ3ㆍ4 산업단지의 업체수는 301개, 종사자수는 1만2275명으로 지역경제를 이끌었다. 하지만, 전략산업 설정 후 현재까지 대전은 전통산업이 아닌 대덕을 이용한 첨단산업으로 한 벤처가 주를 이루고 있다.
벤처촉진법에 따른 1999년대와 2013년을 비교하면 기업체 수는 정보통신은 1999년 39개에서 458개로, 바이오분야는 262개에서 1005개로 급속도로 증가했다.
고용에서도 4대 전략산업에서 크게 증가했다. 정보통신분야는 1만4000명에서 3만명 수준으로 절반 이상 늘었다. 반면 전통산업은 고용인원이 감소세로 돌아서고 있다. 이를 통해 전략산업이 대전의 매출과 고용, 지역경제를 이끌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시점에서 고용창출은 물론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대전형 강소기업 육성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 제조업체 2236개 중 매출 10억원 종업원 5인 이상 기업에 대한 대전형 강소기업을 5개 개념화를 통해 770여개 기업을 선별했다. 연구개발비와 매출액 등을 다시 세분화해 269개 기업을 유형별로 기술선도, 예비기술선도, 창조혁신, 시장선도, 예비시장선도 강소기업으로 나눴다.
분석결과 269개 기업의 종업원 수는 2만2571명으로 1997년 창업 이후 고용이 77% 증가했다. 사례연구를 위해 지역의 50개 기업에 자료를 요청해 취업자를 분석한 결과, 대전에서 대학을 졸업한 직원은 39%로, 고등학교 10%로 나머지는 충청권 및 타지역 출신으로 나타났다. 대전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데 반해 지역 젊은층은 50%이상 지역에 기반을 두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전략산업 중심의 대전형 강소기업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정책이 마련해 산업과 고용정책에 대해 산업수요자 중심의 교육ㆍ고용정책 등 프로그램을 연계해 지역인재 채용을 늘려야 한다. 전통산업도 첨단산업으로 유도하고 타지역 유입 대처노력도 필요하다. 대학의 경우 전공과 채용 특성에 맞게 대학별 취업 특성을 맞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케이맥은 강력한 R&D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 융합핵심 기술 등을 확보해 산업을 영위하고 있다. 특히 254명의 직원 중 5/1 가량이 석ㆍ박사 출신으로 인재기반에 중점을 두고 있다.
케이맥의 인적자원은 회사의 중요한 키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신입직원 채용에 큰 애로를 겪고 있다. 한해 45만명의 청년들이 사회로 진출하고 이중 40만명이 직장을 얻고 있지만, 대기업을 선호하는 젊은층들이 중소기업에 눈을 돌리지 않고 있어서다. 단순히 중소기업에 대한 편견만을 갖고 내 꿈을 어디에서부터 펼칠지에 대한 결정이 없어, 대기업만을 바라보고 있는 현실 때문이다.
이는 대학과 기업간의 소통 부재가 가장 큰 원인이다. 젊은층이 취업을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업무를 하지 못하는 이유와 중소기업에 대한 이해도 등 동기를 유발할 교육 등이 마련되지 않아서다.
대학이 학문을 배우는 곳이지만, 학생들이 졸업 후 취업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장 스킬 등을 가르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하는데, 이런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학생들의 취업을 위해서 대학에서 기업과 소통의 장을 마련해 이런 부분을 미리 파악했으면 한다. 이러면 취업률도 높아질 것이다.
정부지원사업도 문제다. 일방적으로 보조금 지원으로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는 것 같다. 현장 목소리를 들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는 부분이 아쉽다. 정책을 만들기 이전에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만들어 줄 것을 당부한다.
정리=박전규ㆍ박병주 기자ㆍ사진=이성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