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들은 기금을 통한 일자리 창출도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청년들이 마음껏 역량과 재능을 발휘할 수 있을지에 대한 투명한 지원프로그램 등이 우선될지 여부를 우려하고 있다. 또한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지속할 경우 청년 취업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만큼 인식개선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10일 지역 중소기업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박근혜 대통령이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 제공을 위해 '청년희망펀드' 모금제안 후 1호 기부를 한 가운데, 정치권과 대기업, 금융기관 등이 뒤따라 기부하고 나서고 있다.
지역에서도 박희원 대전상공회의소 회장과 정태희 중소기업융합대전·세종·충남연합회장, 이종포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장, 최상권 대덕산업단지관리공단 이사장, 김종민 (사)대전산업단지협회장, 강도묵 (사)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장 10개 경제단체 회장들이 펀드조성에 동참했다.
이들뿐 아니라 지역 건설사와 금융권, 공무원 등도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일부 기업들은 청년희망펀드에 대한 효율성과 검증절차 등이 순조롭게 진행될지 의문을 던졌다.
일부 학생들은 벌써 청년희망펀드를 받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정작 지원금 수령 후 지속적인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지역 한 기업 대표는 “최근 대학에서 희망펀드에 대한 특강을 진행하던 중 희망펀드를 받고자 삼삼오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하지만, 이들이 지원금 수령 후 사업이 어려울 경우 재투자 의지 없이 대기업 등 취업할 생각만하고 있어 희망펀드 지원 대상에 대한 사업영위와 의지 등 명확한 검증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희망펀드 용도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현재 정부기관 등 다양한 지원기관에서 취업교육은 물론 일자리 미스매칭팀을 가동 하고 있어 중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조업체 한 대표는 “'청년희망재단'이 지난달 정식 출범돼 다양한 지원팀이 꾸려졌지만, 이들이 어떤 계획과 용도로 지원할지 의문”이라며 “일자리 창출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나서 직원을 채용하는 것인데, 기금 마련으로 얼마나 많은 청년이 일자리를 찾을지 미지수”라고 의문을 던졌다.
이어 “일자리가 없는 것이 아니라 청년들의 눈높이가 대기업으로 쏠리다 보니 취업을 하지 못한 문제도 있다”며 “이들이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꿔야 취업률도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