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 심장' 상하이… 한타 등 국내기업 잇따라 진출

'중국경제 심장' 상하이… 한타 등 국내기업 잇따라 진출

최초 자유무역지대… 금융·무역 중심 한국 교역액 248억달러 규모로 흑자

  • 승인 2015-11-09 15:33
  • 신문게재 2015-11-10 13면
  • 강제일 기자강제일 기자
[한·중FTA 충남 대도약의 기회다] 1. 중국 제1경제도시 상하이를 잡아라

▲ 상하이 시내 전경
▲ 상하이 시내 전경
상하이는 중국경제의 심장이다. 원대(元代)에 상해현이 설치되면서 도시가 태동했다.

중국이 아편 전쟁에서 영국에 패함에 따라 1842년 체결된 난징조약을 체결했고 이 결과로 상하이 항을 서구 열강에 개항했다. 이때부터 상하이는 영국, 미국, 프랑스 등 외국자본의 중국진출 교두보 역할을 하며 이 나라 경제의 중심으로 도약했다고 경제계는 분석하고 있다.

▲중국 제1 경제도시=상하이는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정책 시행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거듭, 중국 제1의 경제, 금융,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2013년 9월에는 중국 최초로 자유무역시험구(FTZ)가 설립되기도 했다. 이 지역은 중국 정부가 제조업 중심의 경제에 선진 금융을 도입하고자 상하이에 출범시킨 자유무역지대다.

와이가오차오 보세구, 와이가오차오 보세 물류원구, 양산(洋山) 보세 항구, 푸둥(浦東) 공항 종합 보세구 등 4개 지역 전체 면적 28.78㎢로 이루어져 있다.

자유무역구에서는 정부의 행정체제 개편 등을 위한 개혁, 개방 등의 실험이 진행된다. 상하이 GDP(국내총생산)는 2조 3561위안으로 중국 전체 GDP의 3.7%를 차지하고 있다.

또 주요 국가와의 교역규모는 수출 2103억 달러, 수입 2563억 달러 등 모두 4666억 달러이다.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182억 달러로 중국 전체의 15.2%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자동차, 철강, 발전설비, 가전, 정보통신, 화학공업 등이다.

중국정부는 제1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11~15년) 기간에 상하이를 서비스 경제 중심의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국제금융 및 물류중심 건설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20년까지는 국제금융, 항운, 무역, 경제 등 4개 분야를 중점 육성키로 했다.

▲ 상하이자유무역구 입구
▲ 상하이자유무역구 입구
▲한국과 관계=한국과 상하이 교역액은 248억 5500만 달러 규모다. 수출은 184억 3700만 달러, 수입은 64억 1800만 달러로 무역수지가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 기업의 투자규모는 2014년말 현재 약 30억 3400만 달러 가량인데 지난해에만 2억 4300만 달러를 신규 투자했다. 제조업, 유통, 금융 분야 기업들이 잇따라 상하이에 둥지를 틀고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한국타이어 중국본부(1996년), 상하이 포스코부동산유한공사(1995), 상하이 이마트(1997), 삼성화재보험 중국유한공사(2001년), 상하이 농심 식품유한공사(1995) 등이다.

한국 기업의 상하이 진출로 교민사회도 탄탄하게 형성돼 있다. 1992년 한·중 수교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한인사회가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현재 6만 300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유학생 수는 5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1999년에는 상하이 한국학교도 개교했다.

학생 수는 초등 589명, 중등 338명, 고등 468명 등 모두 1395명 규모다.

상하이 시내에는 한국 음식점, 커피숍, 술집 등이 밀집한 상하이 '코리아 타운'도 형성돼 있다. 최근에는 한국 드라마와 K-POP 인기에 편승해 300점포 가량 늘어났다.

일부 매장에는 드라마 '상속자'와 '별 그대' 주연배우인 이민호와 전지현 대형 사진이 걸려 있을 정도인데 평소 한인은 물론 중국인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내포=강제일 기자

※ 이 기사는 충남도 지역미디어발전위원회 2015년 지역언론 지원사업 도움으로 작성됐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尹 파면] 대통령실 세종 완전이전 당위성 커졌다
  3.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4.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5.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1.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2. 50m 줄자로 사흘간 실측 끝에 "산성이다"… 본격 발굴 전부터 고고학 발견 '잇달아'
  3. 尹 탄핵심판 선고일 대전 둔산동 거리에 1500명 운집 예상
  4. 심리상담 받는 대전 교사 9년간 7배 폭증… "교육활동보호 분위기 조성돼야"
  5. [사설] 美 상호 관세 폭탄, '경제 비상 국면' 처해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