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대들은 당초 알려졌던 두개의 평가 지표가 포함되면서 당장 내년 상반기 이뤄지는 평가까지 단기간에 지표를 올릴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고 국립대 역시 학과간 정원 조정이 상대적으로 사립대에 비해 유연하지 못하다며 강한 불만을 내비치고 있다.
26일 대전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이번 프라임 사업은 인문사회ㆍ자연과학ㆍ공학ㆍ의학ㆍ예체능 등 5개 계열을 초월해 이동했을 경우에만 실적을 100% 인정하고 계열 내에서 유사학과 정원을 이동하면 50%만 인정해 학과통폐합 보다는 학과 폐지 후 신설을 유도하고 있다.
학과가 축소되거나 폐지되는 학과 학생들의 반발이나 교원들의 신분 보장 등의 상당한 진통이 예고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학과 구조구정이 자유롭지 않은 국립대들이 가장 우려하고 있는 부분이다.
사립대학들은 평가과정에서 추가된 두개의 지표를 문제삼고 있다. 교육부는 1단계 평가에서 전임교원확보율과 재학생 충원율, 장학금 지급률, 교육비 환원율 등 기본 교육여건 정량지표 40점과 사업계획서상 정성지표 10점을 합산해 최종 선정대학의 2배수를 2단계 평가대상으로 선발하기로 했다. 2단계 평가에서는 ▲학사구조 및 제도 개편 계획 ▲교육과정 개편 및 인력조정 계획 ▲학생 지원 계획(진로) ▲대학 지원 및 협력체제 등을 50점 만점으로 평가해 1단계 평가 점수와 2단계 평가 점수를 합산, 100점 만점으로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사립대 관계자는 “1단계 정량 지표에 기본 4대 지표 외에 대학의 연구실적과 산학 협력실적이 포함됐다”며 “연구실적과 산학협력 실적이 단기간에 올릴수 없는데다 지난 구조개혁 평가에서도 포함되지 않았다”고 당혹스러워 하고 있다.
결국 사립대보다는 국립대학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이라는 것이 이들의 입장이다.
반면 국립대 관계자는 “1단계에서는 국립대가 상대적으로 유리할지는 모르지만 2단계에서는 교육과정 개편과 인력 조정 등 모든 면에서 상대적으로 사립대학이 유리하다”며 “정원조정 설득작업이 제대로 이뤄질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한편 프라임 사업은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과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유형으로 나뉘며 대형은 총 9개 대학에 연 1500억원, 소형은 총 10개교 연 500억원을 지원한다.
오희룡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