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긴 이별의 슬픔 속으로…이산가족 눈물의 작별

  • 사회/교육
  • 국방/안보

다시 긴 이별의 슬픔 속으로…이산가족 눈물의 작별

차창밖으로 손 꼭 부여잡고 “가지 말라”며 잇단 오열 2차상봉은 내일부터 3일간

  • 승인 2015-10-22 18:10
  • 신문게재 2015-10-23 3면
▲ “건강히 지내세요”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마지막날인 22일 오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작별상봉 행사를 마친 이정숙(68) 할머니 가족들이 북측으로 돌아가는 아버지 리흥종(88) 할아버지와 마지막 작별인사를 하고 있다.
<br />연합뉴스/중도일보제휴사
▲ “건강히 지내세요”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마지막날인 22일 오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작별상봉 행사를 마친 이정숙(68) 할머니 가족들이 북측으로 돌아가는 아버지 리흥종(88) 할아버지와 마지막 작별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중도일보제휴사
22일 오전 작별상봉을 끝으로 남측 390여명과 북측 140여명, 96가족은 또다시 기약없는 이산의 슬픔을 안게 됐다.

북측은 오전 11시30분까지 2시간 동안 진행된 작별상봉 직후인 11시50분 북측 가족들을 버스에 나눠 태우고 금강산을 떠났다. “가지 말라”는 오열이 이어졌고, “통일 뒤 다시 보자”는 장담 못할 약속이 쏟아졌다.

버스 출발전, 남측 가족의 버스 접근이 허용되자마자 남측 동생 박용득씨(81)는 차안에 앉아 있는 누나를 향해 달렸다. 차창을 열려다 북측 당국자의 제지를 받고는 창을 두드리며 누나 박룡순씨(82)씨를 찾아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손을 부볐다.

북측 안내원들이 멀어지면서 남북의 가족들은 너나 없이 차창을 열고 서로의 손을 부여잡은 채 온기를 나눴다. “부모님 잘 모실테니 걱정 마시라”는 북측 가족들의 인사말도 쉴새 없이 나왔다.

북측 오빠 원규상씨(82)를 보내는 원화자씨(74·여)는 차창 밖에서 “사랑해. 꼭 다시 만나야 돼”라며 눈물을 흘렸다. 역시 북으로 오빠를 되돌려보낸 박순하씨(78·여)는 버스가 출발한 뒤 주저앉아 통곡했다. 일부 가족은 떠나는 버스를 따라 뛰는 모습도 보였다. 앞서 남북의 이산가족은 이날 마지막 작별상봉을 통해 이별을 준비했다.

상봉장에서 북측 고모 김남동씨(83)를 맞은 남측 조카 김옥래씨는 “오늘 밖에 못봐”라며 한숨을 쉬었다. 김남동씨는 남측 오빠 김남규씨(96) 어깨에 기댄 채 눈물만 흘렸다. 또다른 조카 김경란씨는 “나중에 고모 돌아가셔도 (북쪽) 아들이 다시 (남쪽 가족을) 찾을 수 있도록, 예전에 사시던 (남쪽) 주소를 가르쳐 주세요”라고 당부했다.

작별상봉장에는 이전보다 많은 북측 당국자들이 투입돼, 가족들의 대화를 훨씬 예민하게 관찰하는 모습이었다. 일부는 취재진의 메모를 훔쳐보기도 했다. 하지만 가족들의 모습을 보면서 계속 눈물을 흘리는 일부 관계자도 목격됐다. 남측 가족들은 북쪽 혈육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을 안고 이날 오후 1시30분 귀향길에 올랐다. 한편 남측 이산가족 90가족이 북측 가족 188명을 만나는 2차 상봉은 24일부터 26일까지 1차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노컷뉴스/중도일보제휴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랭킹뉴스

  1. 철도지하화 선도 사업 첫 타자 '대전 조차장역' 선정
  2. 설동호 교육감, 국회 교육위 출석해 사과… 질타 잇따라
  3. 무기력·신분불안 느끼는 교사들 "교사 의견 수렴 없이 졸속·탁상 대책 마련하고 있어"
  4. '사교육카르텔' 교원 249명 문항거래로 213억 챙겨…대전서도 2건 확인
  5.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1. 대전 건설업체 2024년 기성실적 3.4%↑
  2. 교육부 대전교육청 감사… 긴급 분리·조치 등 신설 골자 '하늘이법' 추진
  3. 대전 초등생 사건 본질과 무관한 신상털기·유언비어 잇따라
  4. 80돌 맞는 국립중앙과학관 2025년 전시·체험·강연 연간일정 공개
  5. 대전소방, 대전시립박물관 화재안전 점검

헤드라인 뉴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교육부 교원 벽 높이기 검토… 졸속 대안에 임용 준비생 혼란 우려

대전 교내에서 발생한 초등생 살해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가 교원 임용시험을 강화한다는 대책을 내놨지만 교육환경 체질 개선이 아닌 채용의 벽을 높인 졸속 정책이라는 비판이 잇따른다.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도 없어 임용 준비생들의 불안감이 가중돼 오히려 교원 기피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육부는 故 김하늘 양 사건 이후 교육 현장 안전 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대전 초등생 사망 대응 방향'을 18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저연령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특수 직군이라는 점을 들며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충남·세종 건설공사 기성액 늘었지만 중소건설사는 난항 지속"

2024년도 세종과 충남 건설공사 전체 기성액이 2023년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위 건설사들의 약진이 반영된 결과로, 중소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9일 대한건설협회 충청남도회·세종시회에 따르면 충남 지역건설사의 전체 기성액은 지난해 4조9448억원 보다 2389억(4.8%) 증가한 5조1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충남의 경우 경남기업(주)이 386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활림건설(주)이 1922억원을 신고하며 2위, 해유건설(주)이 1870억원을 신고하며..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 충남 주택화재 감소에도 사상자는 증가

최근 5년새 충남지역 주택 화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상자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간 도내에서 발생한 주택 화재는 총 261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556건, 2021년 542건, 2022년 526건, 2023년 473건으로 감소하다 지난해 515건으로 소폭 늘었다. 주택 화재에 따른 사상자는 총 180명으로 2020년 26명, 2021년 21명, 2022년 43명, 2023년 42명, 지난해 48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자(총 54명)는 2020년 1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장 담그기 좋은 날이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