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유경 연구위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간 1000명에 대해 전화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2.5%가 가정 내에서 갈등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가구형태별로는 다양한 세대가 함께 사는 3세대 가구(38%), 부부가구(36.9%),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33.9%)가 전체 평균보다 가족갈등을 겪은 경우가 비교적 많았다. 이는 부부 및 세대 간 가치관의 차이에서 오는 이해 및 의사소통 부족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조사 대상자 1000명 가운데 가족갈등을 경험한 325명의 가족갈등 유형을 보면, 가족 내 세대갈등이 37.5%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형제자매 간 갈등(20.6%), 부부갈등(19.4%), 가족기능상에서 오는 갈등(16%) 등의 순이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가족갈등이 주로 부모 자녀 간의 세대갈등, 부부갈등과 부모부양과 상속 등으로 인한 형제자매 갈등에 집중돼 있음을 보여준다.
가족갈등 때 대처방식으로는 차분하게 대화를 나눈다가 46.2%로 거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그냥 참는다도 34.8%로 3분의 1에 해당됐다. 반면, 격렬하게 논쟁하거나 소리를 지르는 경우는 10.8%, 폭력적으로 해결한다는 1% 미만이었고, 주위사람 또는 전문기관 및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도 5.9%로 미미했다. 가족갈등을 경험한 대다수 응답자의 경우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높고, 주위사람과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하는 비율은 적어 내부적으로만 해결하려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유경 연구위원은 “세대 간 관계개선을 위해 의사소통 강화와 공유시간 확대, 양성평등적 인식 확산과 제도개선 등 다각적인 정책방안이 모색돼야 한다”며 “가족 간 응집력과 탄력도 제고를 위해 가족관계와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