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은중 한국건강관리협회 대전충남지부 부장 |
먼저 쯔쯔가무시병을 조심해야 한다. 이 병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가 사람을 물 때 그 미생물이 인체 내로 침투,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에 퍼져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산지와 잡목이 많아 털진드기가 서식하기 좋은 9월부터 질병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11월에 절정을 이루다가 12월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벌초를 하거나 밤을 따는 등 다양한 이유로 산에 갔다가 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경우가 흔하다. 팔, 다리, 머리, 목 등의 노출 부위, 또는 습기가 많은 사타구니, 목덜미, 겨드랑이, 엉덩이 부위를 물리기 쉽다.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1~3주로 알려져 있다.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뒤 두통, 발열, 오한이 초기 증상이며 이어서 기침, 구토, 각막충혈, 근육통, 복통 및 인후염, 림프절 비대 등이 동반되며 피부에 발진과 부스럼 딱지가 나타난다.
벌초 후 힘들다고 땅바닥에 아무렇게나 앉기보다는 반드시 돗자리나 손수건을 펼쳐 놓고 앉기를 권한다. 또한 야외활동 후에는 반드시 손발을 깨끗이 씻어야 하며 중간에 얼굴을 만지는 등의 행위를 금해야 한다.
렙토스피라병(Leptospirosis)은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되어 발생한다. 매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고, 사람과 동물에게 동시에 감염될 수 있는 흔한 인수 공통 전염병이기도 하다. 감염된 동물은 만성 보균상태를 유지하면서 렙토스피라균을 소변으로 배설해 개울이나 강물, 지하수, 흙 등을 오염시킨다. 사람은 오염된 환경과 접촉하면서 감염된다. 특히 장마철 야외활동이 많은 사람에게서 비교적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추수기에 집중폭우나 홍수가 있었을 때 농작물 피해방지나 재해복구 작업 등에 참여한 농부, 축산업자, 군인, 자원봉사자들을 중심으로 대규모 유행이 수차례 발생한 적이 있다. 발생시기는 8월 초부터 시작돼 9월과 10월에 최고조에 달한다. 갑자기 시작되는 발열과 두통, 오한, 심한 근육통(특히 종아리와 허벅지), 충혈 등이 흔한 증상이다. 이상한 형태의 발열, 수막염, 발진, 용혈성 빈혈, 피부나 점막의 출혈, 의식저하, 객혈을 동반하는 호흡기 증상 등도 나타날 수 있다. 렙토스피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농사일을 할 때 반드시 방수가 되는 무릎장화를 신고 일해야 한다. 고인 물에 접촉하는 것을 가급적 피한다. 몸에 난 상처를 통해 감염되므로 상처가 난 부위에 더러운 물이나 흙이 닿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늦가을에 유행하는 신증후성 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은 '유행성 출혈열'이란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 신증후성 출혈열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5만 명에게 발생할 정도로 공중보건학적으로 큰 문제다. 한타바이러스가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만성 감염된 등줄쥐의 타액, 분변 등으로 한타바이러스가 배출, 공기 중에 건조된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그러므로 쥐가 많이 서식하는 야외에서 눕거나 작업을 할 때 감염 위험이 높다.
주로 건조한 시기인 10~12월에 많이 발생하며, 대부분 농촌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도시의 집쥐나 실험용 쥐를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야외활동이 많은 남자, 농부, 군인, 설치류 동물 실험실 요원 등에게서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신증후성 출혈열 역시 외출 후 손발을 잘 씻는 기본적인 행동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이들 질환은 추석 전후 벌초나 성묘 등을 하는 과정에서 감염되는 일이 많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감염 예방을 위해 논밭 작업이나 야외활동 시 기피제를 뿌리거나, 긴소매, 긴 바지, 양말, 장화를 착용해 감염된 털진드기나 설치류의 배설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3대 감염병 모두 감염 초기 야외활동 후 발열, 오한, 두통 증상이 나타나는 만큼,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노은중 한국건강관리협회 대전충남지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