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현주 충남교육청 장학사 |
고려가 건국이후 약 200년 동안 발해, 여진, 거란 등에서 받아들인 귀화인은 약 17만 명에 달했으며, 12세기 무렵 고려전체 인구가 200만 명쯤으로 추산되는 걸 감안하면 무려 8.5%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는 현재 전국 다문화가정 학생 수 1% 대 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고려의 귀화인들은 고려에서 엘리트 관료만 아니라 기술자로도 널리 활약했다고 한다.
초등학교 교실에 다문화학생이 전학 오면 모든 아이들의 관심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어떤 때는 이런 지나친 관심이 다문화학생에게 상처로 남곤 한다. 중학교, 고등학교에서는 이보다 더 심각해서, 한창 사춘기를 겪고 있는 학생들이 받는 상처는 더 크고 , 나아가서는 자기 자신이 다문화가정이라는 것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꽁꽁 감추기도 한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정말 유익한 프로그램이 있어 학교에 안내를 하면 특히 중. 고등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는 의욕이 부족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기 위해 신청하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다.
그리고 다문화학생의 출신국 언어를 다문화학생에게 매일 매일 한 단어씩 배워 본다. 이는 학생들이 반 친구를 이해하면서 다문화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아닐까 한다. 실제로 유럽에서 다문화인구가 가장 높은 독일의 초등학교에서는 이렇게 매번 실천하고 있고, 좋은 효과를 얻고 있다고 한다.
지난 7월 13일,14일 충남교육청에서 주최하는 다문화학생들의 이중언어말하기 대회가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저마다 자신의 이야기를 엄마나라의 말과 한국어로 발표하는 대회였다.
초등학생 들은 대체적으로 씩씩하게, 당당한 모습으로 잘 이야기 하는 반면에 중. 고등학생들은 질풍노도의 사춘기 시절을 보내고 있어서 그런지 자신감이 없어보였고, 어떤 학생은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서 그동안 참아왔던 설움에 눈물까지 보이는 학생도 있었다.
대회를 지켜보던 심사위원들과 참관하고 있던 학부모들도 같이 숙연해지면서 한편으론 다문화학생들의 어려움을 공감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교육부에서는 올 해부터 유치원생들에게 다문화이해교육을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우리 아이들이 선입견과 편견을 갖기 전에 일찍부터 다문화이해교육을 한다면 눈물 흘리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는 다문화학생들이 더 이상 나오지 않으리라 확신한다.
요컨대, 학교의 다문화교육은 거대한 패러다임 속에서 출발하기 보다는 우리 반 다문화 친구의 문화와 풍습을 이해하고, 친구가 사용하는 언어 한마디를 배워보며 함께 공감하는 작은 실천에서 시작해야 한다.
이렇게 학교 다문화교육이 반 친구이해하기부터 시작한다면 충분히 실천할 수 있는 과제라고 생각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