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연착륙 정책이 내년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사진=연합DB |
기재부 역시 아직까지 서울 등 수도권 출퇴근이 불가피한 일부 공무원들의 여건을 감안, 이 같은 수준에서 반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국무조정실 결과상 2600여 명 이상이 여전히 세종시 정착의지를 내비치지 않고 있고, 내년 이후에도 세종시 이주 의사가 없는 정부부처 공무원이 1600여 명으로 분석된 현주소를 고려했다.
당장 통근버스를 대폭 줄일 경우, 자녀교육과 배우자 직장 등의 문제로 불가피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공무원들에게는 또 하나의 짐을 던져준다는 판단에서다. 시간이 지날수록 정착률이 늘고 있는 만큼, 현재 연착률 기조를 지속하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다만 올해 예산규모가 사실상 부족했던 만큼, 자연감소분에 따른 버스 감축 등의 조치는 수시로 점검·적용할 계획이다. 실제로 청사관리소는 지난 7월 하반기를 기점으로 반석역과 조치원, 대전 둔산동, 첫마을, 서울권 및 경기권 전반에 걸쳐 버스대수를 최소 1대 이상 줄였다. 하지만 지역 사회에서는 2012년부터 2014년을 이전 기간을 넘어 올해까지 연착륙에 필요한 충분한 기다림의 시간을 가졌다는 반론이 형성되고 있다.
가뜩이나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중심으로 한 대중교통 서비스 적자(연간 100억원 수준)가 증가하고 있는데, 첫마을 등 인근 지역 통근버스 지속 유지는 도시 컨셉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요소란 지적이다.
초창기와 달리 청사 근무 만족도가 상당히 높아졌고, 기초 생활·문화 인프라를 누릴 수있는 정주여건도 어느 정도 갖췄다는 점에서도 반발을 사고 있다.
세종시민사회단체는 올 초부터 통근버스 즉각 폐지란 강경론을 지속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
세종=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