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은 칼국수의 도시라 불릴 정도로 칼국수 전문점이 많다. 인터넷 지도에서 칼국수를 검색하면 빨간색 점이 대전의 지도를 수놓을 정도로 수많은 매장들이 경쟁하고 있다. 대전의 한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2013년 칼국수축제를 개최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칼국수 상차림(수육, 족발포함)
▲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은 청정밀로 만든 칼국수
대전시 중구 문화동에 위치한 밀밭칼국수는 칼국수의 도시 대전에서도 손꼽히는 칼국수 명소다. 점심시간이면 매장을 빼곡히 채운 손님들과 입구까지 길게 늘어선 대기 손님들로 문전성시를 이룬다. 메인 메뉴는 물론 칼국수다. 20가지 천연재료를 우려낸 육수에 칼국수와 채소, 바지락이 나온다.
▲ 밀밭칼국수는 매장에서 직접 반죽하고 손님 수요에 따라 칼로 썰어서 손님상에 올린다.
▲ 국물맛을 더욱 시원하고 깔끔하게 만들어주는 바지락과 각종 채소류
대부분의 칼국수집들이 이처럼 직접 끓어먹는 전골방식을 선호하는데 주인 곽승호 사장이 시작할 당시만 해도 전골방식은 흔치 않았다. 곽 사장은 “어떤 메뉴의 음식이든 신선하고 좋은 재료를 쓰면 조리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며 “조리사 20년 경력의 노하우를 믿고 전골 방식의 칼국수에 도전했다”고 말했다.
주재료인 칼국수는 직접 반죽해 뽑아낸다. 밀가루는 방부제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국내산 밀가루를 사용하고 약간의 숙성시간을 거쳐 손님들 수요에 맞춰 칼로 썰어낸다. 물론 만들어진 밀가루 반죽은 당일 소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사진 촬영으로 다소 긴 시간이 지체돼 불어 있었지만 쫄깃한 면발의 식감은 살아있었다.
▲ 칼국수의 맛을 돋우어 주는 칼국수의 백미 '배추겉절이'
칼국수집의 백미라 하면 배추겉절이를 빼놓을 수 없다. 담백한 칼국수국물과 매콤하고 짭조름한 배추겉절이는 칼국수의 맛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소다. 대흥동에서 왔다는 한 손님은 배추겉절이를 가리키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그는 “김치 겉절이를 면에 한번 감싸고 수저로 국물을 함께 먹는 것이 이 집 칼국수를 제대로 먹는 방법”이라며 “주변에 칼국수 전문점이 많이 있지만 이 집 보다 맛있는 김치겉절이는 찾지 못했다”고 칭찬했다. 입맛 까다로운 여고생 손님들도 자리 잡고 있었다. 인근 여고에서 왔다는 학생은 “이 집 칼국수는 패스트푸드에 길들여진 입맛을 다시 돌려주는 느낌”이라며 “한번 다녀가면 당분간은 자극적인 서양 음식은 생각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 잡내가 없고 담백한 맛을 자랑하는 수육
▲ 함께 나오는 무생채와 곁들이면 더욱 맛이 좋다.
돼지고기 수육도 손님들이 즐겨 찾는 메뉴다. 고기 냄새가 전혀 없어 느끼하지 않고 퍽퍽하지 않으면서도 쫄깃하다. 오향장육처럼 빛깔이 짙은 갈색에 살짝 기름진 모양이 보기만 해도 식욕을 돋우어준다. 함께 나오는 무생채를 곁들이면 더욱 맛이 좋다. 콜라겐이 풍부한 족발은 여성 손님들이 즐겨 찾는다. 특제 육수에 삶이 전문점 족발이 부럽지 않다. 주꾸미철판구이는 저녁시간 술안주 손님들에게 인기가 좋다. 잘 재워진 제육의 부드러움과 주꾸미의 쫄깃한 맛의 조화가 이채롭다.
▲ 특제 육수에 삶아 쫄깃한 식감을 제공하는 족발, 콜라겐이 풍부해 여성손님들에게 인기가 좋다.
▲ 매콤한 양념에 잘 재운 제육과 주꾸미의 만남 '주꾸미제육철판구이'
외진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손님들이 꾸준히 찾는 비결에 곽 사장은 “장사를 처음 시작하던 시절의 마음을 갖고 음식을 만들면 손님들이 먼저 알아주는 법”이라며 “현재의 위치에서 욕심 부리지 않고 좋은 재료로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데 매진하겠다”고 전했다.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이 주말에서 평일로 전환할 경우 인근 상권 평균 매출이 3%대로 상승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답보 상태인 대전 대형마트 평일 휴업 전환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다만, 이해 당사자인 노동자 등은 반대 의견을 강하게 내고 있고, 정치권에서도 의무 휴업일을 평일보단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 등이 발의되면서 시일이 다소 걸릴 전망이다. 17일 산업연구원의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 변화와 경제적 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마트 주말 영업은 주변 상권에 평균 3.1% 수준의 매출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연구원은..
대전과 세종, 충남·북이 함께 출범한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광역연합'의 재정 지원 근거를 마련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송재봉 의원(충북 청주청원)이 17일 대표 발의한 지방교부세법 일부개정법률안으로, 대전과 세종, 충남·북 국회의원들이 대거 공동 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개정안의 핵심은 지방교부세법 제2조 제2호에 두 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추가해 충청광역연합도 지방교부세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내용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특별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