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를 아시나요] 정부미 - 배고픔 해결사

  • 문화
  • 우리문화를 아시나요

[우리문화를 아시나요] 정부미 - 배고픔 해결사

  • 승인 2015-07-28 14:16
  • 신문게재 2015-07-29 19면
  • 정동찬 국립중앙과학관 시설창조관리과장정동찬 국립중앙과학관 시설창조관리과장
태풍이 올라오고 장마가 지속되면서 가뭄해갈에 도움이 되고 있다. 먹장구름 사이로 간간이 비치는 햇살 속으로 강아지풀이 한가로이 까불고 있다. 강아지풀의 잔털의 간지럼에 대한 추억과 강아지풀을 반으로 잘라 코밑에 붙여서 콧수염을 만들어 서로 내 수염이 길다고 뽐내던 추억 또한 새롭다. 이때쯤이면 들녘에서는 벼들의 새끼치기가 한창이다. 새끼를 많이 쳐서 볏줄기가 많아야 벼이삭이 많이 피어나고 벼의 수확량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벼꽃이 피고 낱알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할 즈음 태풍이나 비바람이 몰려와 다 자란 벼들이 논바닥에 엎어지거나 꺾이면 여간 난감한 일이 아니었다. 농부들은 벼들이 엎칠까봐 노심초사하곤 하였다. 당시까지 일반벼 품종들은 한 평에서 두 근을 수확하면 식량은 한다고 했는데, 그만큼 수확량을 늘리기가 쉽지 않아서 항상 쌀이 부족하였다.

그런 까닭에 나라에서는 보리, 콩, 밀가루 등의 혼분식을 장려하면서 수확도 많이 하고 태풍에도 잘 쓰러지지 않는 품종을 개발하는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였다. 그 결과 통일벼를 개발하게 되었다. 당시까지 일반벼의 수확을 높이려고 나라에서 농민들에게 소주밀식(小株密植; 모를 한 번 심을 때 작은 개수를 빽빽하게 심는 방법)이나 시비법 개선(施肥法 改善; 비료를 주는 새로운 방법) 등을 장려하거나 지도하면서 단위면적당 벼 수확량을 늘리려고 애를 쓰곤 하였다.

하지만 일반벼 품종은 보통 한 평에 세 근 정도를 수확하는데 그치곤 하였다. 그런데 통일벼는 한 평에 다섯에서 여섯 근 정도는 수확하게 되어서 일반벼 수확량의 두 배를 웃돌게 되었다. 이렇게 수확량이 많으면서도 논바닥에 떨어지는 낱알들도 많았다. 볏짚도 짧아서 여간한 태풍이나 비바람에는 끄떡도 없었다.

또한 당시 일반벼 볏짚과 달리 연하여 사료로 쓰기에도 좋았다. 반면 밥맛이 좀 떨어진다고 하여 일반미를 선호하기도 했으나 일반 서민들에게는 값이 싸고 양도 많아서 배고픔을 해결하는 데는 그만이었다. 정부에서도 통일벼 모두를 비싼 값에 사들여서 농부들의 소득도 한층 높아졌다. 정부가 통일벼를 모두 사들여 흉년을 대비해 비축하면서 시중에 쌀이 모자랄 때 내놓았기 때문에 '정부미'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통일벼를 개발하여 온 나라와 겨레의 배고픔을 해결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던 분들의 숭고한 뜻을 기려야 하겠다.

정동찬·국립중앙과학관 시설창조관리과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태흠’ 불참 충남도민 행사 등장한 김동연 “저는 충청의 아들”
  2. [날씨]초속 5m 강한바람에 체감기온 뚝…계룡산 23㎝ 눈 쌓여
  3. 최민호 세종시장 "세종사랑운동,사회적자본으로 뿌리내려야"
  4. 대전·충남 보도사진전 개막…2월 11일까지
  5. 늘어나는 특수교육 대상자에 대전교육청 올해 특수학급 15개 신·증설
  1. 충북 충주서 규모 3.1 지진 발생… 피해 신고는 없어
  2. [건강]밝은누리안과병원, '홍채인식시스템' 적용 스마일프로 선봬
  3. 대전교육청 옛 대동초 부지 '무용지물'… 개발제한구역 규제에 발목 잡혀 난항
  4. 한국스마트혁신기업가협회 "대전시, 기업 규제완화 및 지원제도 개선을"
  5. KT&G 지난해 매출액 5조 9095억 '연간 최대치' 경신

헤드라인 뉴스


옛 대동초 부지 `무용지물`… 개발제한구역 규제에 발목 잡혀 난항

옛 대동초 부지 '무용지물'… 개발제한구역 규제에 발목 잡혀 난항

대전교육청이 폐교재산인 옛 대동초 부지를 놓고 2년째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건물의 노후화가 심각하지만 법의 테두리에 갇혀 보수·수리도 제한돼 공실 상태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5일 오전 유성구 대동에 위치한 옛 대동초 부지를 방문해보니 학교 내부로 향하는 교문과 뒤편에 위치한 관사 모두 잠금장치로 굳게 잠겨 접근이 불가했다. 학교 정문 앞은 차 한대가 겨우 지나갈 수 있는 도로와 비닐하우스가 늘어서 있고 뒷산 곳곳엔 묘지가 자리 잡고 있는 등 접근성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이었다. 이날 오전 중에도 1층 높이의 학교 건물만 덩그..

충북 충주서 규모 3.1 지진 발생… 피해 신고는 없어
충북 충주서 규모 3.1 지진 발생… 피해 신고는 없어

기상청은 7일 오전 2시 35분 34초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km 지역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진앙은 북위 37.14도, 동경 127.76도이다.기상청은 이날 오전 2시 35분께 규모 4.2 지진이 발생했다고 고지했다가 상세 분석을 통해 이를 3.1로 조정해 발표했다.기상청이 애초 지진 규모를 4.2로 추정하면서 충청권은 물론 서울과 인천, 전북, 경북 등에도 새벽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됐다. 이번 지진으로 충북 충주시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느끼고, 그릇과 창문이 깨지기도 하는 정도'의 흔들림이 느껴졌을 것으로..

[날씨]초속 5m 강한바람에 체감기온 뚝…계룡산 23㎝ 눈 쌓여
[날씨]초속 5m 강한바람에 체감기온 뚝…계룡산 23㎝ 눈 쌓여

대전과 충남 지역에 대설주의보와 함께 강풍주의보까지 발효되면서 많은 눈과 함께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 대전지방기상청에 따르면, 7일 오전 7시 기준 계룡산에 22.9㎝ 눈이 쌓인 것을 비롯해 세종 전의 11.6㎝, 서산 11㎝, 천안 9.2㎝, 대전 3.6㎝, 금산 3.3㎝의 적설을 기록했다. 기온은 오전 8시 현재 영하 4.1도로 바람의 영향으로 체감온도는 영하 9.3도다. 특히, 바람이 강하게 불어 대전을 기준으로 초속 5.2m의 살을 에는 듯한 바람이 불고 있다. 서청주에서는 초속 7m의 매우 강한 바람이 일고 있다. 충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많은 눈과 도로 결빙 우려에 출근 포기한 차량들 많은 눈과 도로 결빙 우려에 출근 포기한 차량들

  • 텅 빈 헌혈의집…혈액수급 빨간불 텅 빈 헌혈의집…혈액수급 빨간불

  • 대전·충남 보도사진전 개막…2월 11일까지 대전·충남 보도사진전 개막…2월 11일까지

  •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