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최근 국내 연구진들은 드론의 안전운행을 위한 드론회피 기술연구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27일 특허청에 따르면 드론의 충돌회피 기술과 관련된 특허출원은 지난 2009~2011년 3년간 8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드론이 대중화된 최근 3년간(2012~2014년) 21건으로 163%에 달했다.
이중 약 70%가량의 특허출원이 국내 연구진에 의한 것으로, 무인항공기 분야 차세대 핵심기술의 하나인 충돌 회피 기술에 대한 국내 기술이 최근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드론의 충돌회비 기술은 지상에서 조종사가 화면이나 레이더를 통해 비행체를 관측해 충돌을 탐지하고 회피하는 '지상기반 충돌회피기술'과 드론 자체에 센서를 장착해 스스로 충돌을 탐지하고 회피하는 '탑재기반 충돌회피 기술'로 나뉜다.
이중 현재 실용화 단계에 더욱 다가선 기술은 '지상기반 충돌회피기술'이다. 지상기반 충돌 회피는 지상통제소와 무인항공기 간 실시간 정보 송수신 기술과 무인항공기 제어기술이 중심을 이룬다.
현재 국내 특허 출원된 기술 중 약 70%가량이 지상기반 충돌회피 기술에 관한 것으로, 탑재기반 충돌회피 기술로 발전하기 위한 징검다리 기술로서의 의미가 있다.
충돌 회피기술은 미국에서 최근 10년간 123건의 충돌회피 관련 특허가 출원되는 등 해당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3년(2009~2011년)과 최근 3년(2012~2014년)의 특허출원건수가 각각 38건, 40건으로 꾸준한데 반해, 우리나라는 최근 출원건수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드론 충돌회피 기술관련 논문은 모두 58건에 달했지만, 특허출원으로 이어진 것은 4건에 불과해, 시급히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무인항공기 충돌탐지 및 회피 기술은 항공우주분야 10대 유망기술 중 하나로, 미래 드론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핵심기술”이라며 “충돌회피 기술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물을 조기에 특허출원해 특허권을 확보하는 전략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