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됨에 따라 이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9일 충남연구원이 개최한 '백제문화유산 유네스코 등재 의의와 향후 과제 워크숍'에서 나왔다. 충남도 제공
|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됨에 따라 이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타 지역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향후 문화재관리정책 추진에 따른 지역민 갈등 예방과 문화유산의 현대적 재해석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는 충남연구원이 9일 개최한 '백제문화유산 유네스코 등재 의의와 향후 과제 워크숍'에 참가한 전문가에서 나왔다.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단 추진위원장인 노중국 계명대 명예교수는 주제발표에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이 됨으로써 공주, 부여, 익산은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도시 브랜드가 크게 높아지고 국내외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세계적인 문화관광 명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향후 백제역사유적지구를 보존·관리·운영할 통합관리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주대 관광레저학과 김규호 교수는 “경주지역(1995년 석굴암과 불국사, 2000년 경주역사지구, 2010년 양동마을 등)은 세계유산 등재 직후 방문객수가 급증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이후 관광문화·소비활동 변화와 유산관광의 한계 등으로 인해 감소 혹은 답보 상태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적인 문화관광명소가 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현재 경주지역 세계유산 관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문화재관리정책에 대한 지역민과의 갈등, 문화유산의 현대적 재해석 부족, 도시 전체의 관광 매력 저하, 유적 발굴, 정비, 복원사업 등에 따른 도심공동화 현상 등을 분석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지속적·체계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토론자로 나선 충남역사문화연구원 박재용 책임연구원은 “지역 주민의 생활·재산권 피해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공주와 부여 시가지에 묻혀 있는 다수 유적을 추가로 발굴하기란 쉽지 않다”며 “문화유산 보존·발굴과 지역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는 재정 지원, 유사한 사업들의 통합 등 효율적 사업운영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공주대 유기준 교수는 “세계유산의 보존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을 '지역주민의 긍정적인 태도와 지지”라며 전제한뒤 “이같은 지역주민의 자발적 노력은 방문객이 만족할만한 관광경험을 갖도록 함으로써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확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내포=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