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충청과 호남이 상생발전할 수 있도록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때 불협화음에 휩싸였던 충청과 호남이지만 이제는 '백제 세계 유산'이라는 공통분모를 확보한 만큼 공동발전 전략 수립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지적이다.
충청과 호남은 올해 초부터 호남고속철 서대전역 경유 문제로 갈등을 빚어왔다.
앞으로도 국방신뢰성시험센터 및 의대 유치전 등을 통해 힘겨루기가 불가피하다.
이처럼 각종 현안을 두고 경쟁 관계에 있던 충청과 호남이 백제 세계 유산으로 인해 공동 발전의 기회를 잡았다.
충남도에 따르면 이번에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곳은 공주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부여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부여 나성, 익산 왕궁리 유적, 미륵사지 등 모두 8곳이다.
충청과 호남 7개 광역시·도 가운데 충남 6곳, 전북 2곳에 유적이 있다.
대전, 세종, 충북, 광주 전북 등 5개 시·도는 이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특정 시·도의 유산 보유 여부를 떠나 이번 세계유산 등재의 쾌거는 충청과 호남이 힘을 합쳐 이뤄낸 산물이라는 데 이견은 없다.
실제 충청과 호남은 이번 등재를 위해 통합조직 구성 등 힘을 합쳐왔다.
지난 3월 충남도와 전북도 2개 광역시·도와 공주, 부여, 익산 등 3개 기초단체는 '백제왕도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 준비단'을 출범, 고도(古都)재현에 나섰으며 2012년에는 백제유적지구 통합관리사업단을 발족한 바 있다.
백제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충청권과 호남권이 문화를 통해 화합해 온 것이다.
백제역사유적이 세계 속 문화유산이 된 '후광'을 충청과 호남의 모든 지자체가 나눠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이번 세계유산 등재로 단기적으로는 백제유적의 관광객 증가가 기대되며 장기적으로는 유적 활성화를 위해 SOC 분야 등에서 대규모의 국비가 투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청과 호남 모든 지역이 백제유산을 통해 균형 있게 발전할 호기를 잡은 셈으로 이와 관련해 앞으로 양 지역의 구체적인 상생발전 전략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충남도 관계자는 “앞으로 전북도 등 호남권과 함께 백제유적 활용 공동 프로그램을 개발, 백제 문화유적 벨트 활성화 방안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내포=강제일·유희성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