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연 유성선병원 뇌졸중센터 재활의학과장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240만6000여명의 당뇨환자 중 30~40% 정도인 70만~95만여명이 신경병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뇨병 합병증 중 단연 1위를 차지하고, 당뇨환자가 가장 두려워하는 족부절단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원인은 말초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신경섬유의 손상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통증이 발생함과 동시에 비대칭적으로 몸에 변화가 생기며 일반적으로 당뇨환자 중 유병기간이 길고 혈당조절이 어려운 환자에서 잘 나타난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손보다 발에 잘 나타나며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바로 '손발저림'이다. 그러나 손발저림의 경우 혈액순환에 장애가 있거나 수족냉증 등이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증상이기 때문에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이는 차후에 걷지 못할 정도의 심각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증상 초기에는 발끝이나 손끝에 화끈거림, 가려움, 바늘로 찌르는 통증이 나타난다. 밤중에 근육에 쥐가 나거나 경련이 잘 생긴다. 더불어 신체검사에서 가벼운 촉각에 과민하거나 감각저하를 보이며, 위치각, 압박각, 운동각, 진동각과 심부지각을 총칭하는 고유 감각까지 진행된 경우에는 발을 자주 헛디디게 된다.
무감각도 하나의 증상으로 받아들이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묵직하고 답답한 느낌'으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상처가 생겨도 잘 모르기 때문에 족부괴사로 이어질 수 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오랫동안 방치한 경우 말기에 근육약화가 나타나며, 말단에서부터 점점 몸 쪽으로 진행한다. 발 배굴근의 약화로 발꿈치보다 발바닥이 먼저 지면에 닿는 현상이 초기 징후이며, 실조성보행을 보일 수도 있다.
또한 심한 말초감각결손이 있다면 피부궤양 등의 반복적인 외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손발의 절단까지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전기진단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진행정도를 확인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아직 정확한 병태생리가 밝혀지지 않아 치료 역시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적절한 혈당 관리를 통해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유일하게 의미 있는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공복일 때 혈당의 정상범위는 80~100㎎/이며, 식후 2시간 이내에는 80~140㎎/를 유지해야 한다. 또 식사와 관계없이 혈당이 200㎎/ 이상이면 전문의의 조언에 따른 적극적인 혈당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에서 나타나는 통증은 종종 치료가 쉽지 않다. 그러나 특징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감소되므로, 움직이지 않는 것 때문에 또 다른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는 항상 자신의 발에 관심을 갖고 매일 자기 전 발을 꼼꼼하게 점검해보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당뇨병 환자 같은 경우에는 상처의 치유속도가 더디고 또 어렵다. 따라서 여름철에 가급적 발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말고, 발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발톱은 반드시 일자로 깎아 발톱감입을 예방한다. 세족 후 보습크림이나 로션을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되며, 압박 양말과 복대는 정맥 환류를 향상시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흡연은 혈액 순환을 방해하므로 절대 삼가야 하며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나 꽉 죄는 벨트, 거들 등은 혈액 순환을 나쁘게 하는 만큼 피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게는 누워 있거나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났을 때 심한 어지럼증과 함께 시야가 흐려지는 기립성 저혈압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기립성 저혈압의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자세를 천천히 바꾸고 잘 때 머리를 높이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