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 충남에서 연간 12만여명이 구급차를 통해 병원으로 이송되는 상황에서 자칫 감염환자를 이송한 구급차가 확산의 매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급차에서 사용하는 의료도구와 장비를 소독하고 멸균상태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다수의 환자가 이용하는 구급차는 감염균이 남아 제2·3의 전염을 일으킬 수 있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구급 구조를 요청한 환자가 전염성 질병이 있는지 구급차 이송과정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혈액과 분비물, 구토물 등이 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1년과 2012년 충남에서 구급대원이 신종플루와 결막염 등의 환자를 이송 후 2차 감염된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이때문에 대전과 충남소방본부는 구급대원에게 외과용 장갑과 마스크, 보호안경, 감염방지 가운을 지급하고 구급차량은 상시 세척소독과은 분기별 전면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또 환자를 만나 감염이 이뤄졌을 의료도구와 장비를 소독할 수 있도록 감염관리실이 설치돼 있다.
하지만, 감염 가능성에 대한 판단과 실제로 소독하는 일은 출동 구급대원에 맡겨져 있고 감염관리실도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소방본부는 각 소방서에 들것부터 의료도구 등을 세척하고 살균할 수 있는 장비를 구비한 감염관리실을 조성해 대전 5곳, 충남 13곳 운영중이다.
감염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때 소방서에 있는 감염관리실에 방문해 의료도구와 의류, 몸 등을 소독하는 시스템으로 소방서에서 거리 먼 센터 구급차량은 방문소독이 쉽지 않다. 또 충남 2곳의 소방서에는 그나마 감염관리실이 없는 실정에 소독 등은 모두 출동 구급대원이 직접 하고 있다.
지난해 119구급차 한 대가 대전에서 2064회 출동해 평균 1548명을 이송했고, 충남에서는 구급차 1대가 1300회 987명의 환자를 병원으로 옮겼다.
충남대 의학전문대학원 유인술 교수는 “구급차량은 이력을 모르는 환자를 이송하고 응급처치하는 과정에서 감염우려가 커 감염관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며 “구급차량에 사용하는 물품과 의료도구를 소독해 멸균상태서 보급해주거나 구급차량이 원할하게 소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