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후면 금리가 오르기 시작할 것이라는 얘기가 주변에서 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금리가 1%만 올라도 그는 매월 10만원 이상의 이자를 더 내야 한다.
최씨는 “금리가 낮다고 해 집을 살 때 대출을 좀 많이 했다”며 “금리가 오르기 시작하면 갚을 수 있는 돈은 최대한 빨리 갚아야 할 것 같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미국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면서 대출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금리가 인상되면 시차는 있겠지만 한국은행도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이 예상되고 결국, 실질금리도 인상될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다.
31일 지역 금융권에 따르면 각 시중은행 창구에는 금리 인상에 대한 문의가 급증하고 있다.
서구 둔산동 우리은행 지점에는 금리 인상과 관련한 문의가 하루 평균 10건 정도였지만 최근에는 20여건에 달하고 있다. 주변 은행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최근 들어 금리 인상에 대해 문의하는 고객이 많이 증가했다”며 “이제는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 상품을 찾는 고객이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상에 대해 상담을 하러 온 자영업자 김모(54·서구 둔산동)씨는 “변동금리 상품으로 2%대 이자만 내고 있어 현재는 큰 부담이 없지만 3년 후면 원리금도 같이 갚아야 하는데 이자마저 비싸지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하소연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기준 금융권 전체 가계신용 잔액은 1099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증가 속도도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올 1분기의 가계신용 증가액(11조6000억원)은 지난해 같은기간(3조5000억원)에 비해 3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가계대출 급증은 지난해 3차례 기준금리가 인하되는 등 한은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인 1.75%까지 내린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안심전환대출 등의 정책을 펴면서 대출을 쉽게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것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변동금리와 원금상환 없이 이자만 갚는 대출은 금리 인상 시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