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에 따르면 대기환경표준센터 이상일 <사진>박사팀과 국제도량형국(BIPM) 비알론(Viallon) 박사팀이 종전보다 정확한 흡수단면적 값을 구해 이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오존 측정은 오존이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오존이 가장 잘 흡수하는 파장의 자외선(253.65㎚)을 일정량 쏘면 오존에 흡수돼 줄어드는 데 그 양을 측정, 계산하면 오존 농도를 구할 수 있다.
광학거리 등 변수가 있지만 오존에 흡수되는 자외선 비율인 흡수단면적 값은 오존 농도의 정확도를 저해하는 가장 주요한 불확도 요인이었다.
이 박사팀은 흡수단면적 값에 대한 불확도를 종전 2.2%에서 0.86%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를 바탕으로 대기 중 오존 농도를 측정하면 실제 오존 농도 값이 2% 높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정확한 흡수단면적 값을 측정하려면 재료가 되는 고순도의 오존을 빠른 시간에 만들고 효율적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방해물질인 불순물의 영향을 최소화해 고순도 오존의 자외선 흡수도를 측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박사팀은 통상 하루가 소요되는 오존 생산시간을 2~3시간으로 줄였을 뿐 아니라 증발-응축 순환방법을 개발, 오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등 관련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했다.
새로 개발된 오존 흡수단면적 값이 기준값으로 적용되면 기후변화 관련 전 지구 오존 측정과 대기오염 관련 오존 측정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돼 오존 피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기대된다.
이 박사는 “이번 연구는 오존 농도 측정에서 가장 큰 불확도 요인을 해결한 것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오존 측정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영록 기자 idolnamba2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