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의 부동산정책 완화로 빠르게 늘고 있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금융소득으로 생활하는 은퇴자들의 생활에도 상당한 타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작년 한해 68조원 가량 늘면서 지난해 말 기준 1089조원에 달하고 있다.
올 초에도 증가세는 여전해 지난 2월 가계대출은 1월에 비해 3조7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2008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이같은 가계 대출 증가는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작용했다.
지난해 두차례 기준금리 인하와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로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지난달에는 전년 동기대비 3배 정도인 4조2000억원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준금리 인하로 금리가 더 떨어져 가계대출 증가세가 가속화되면 경제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금융권 한 관계자는 “전세값 상승으로 세입자들이 싼 금리에 주택구입에 나설 경우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더욱 빨라져 위험수위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보험업계와 증권업계의 희비도 엇갈렸다. 보험업계는 역마진 부담이 커졌지만, 증권업계는 국내 투자자금이 증시로 유입될 가능성 커졌기 때문이다.
보험사 한 관계자는 “장기 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장기채 투자 위주로 운영하면서 하반기 금리 인상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감을 나타냈지만 증권사들은 주로 채권에 투자하는데다 금리 인하에 따른 채권 가격이 상승, 실적 증가가 예상되는 것이다.
은행에 노후 자금을 맡긴 은퇴자들의 타격도 불가피하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탓에 은행 예금 금리가 더 내려갈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연 1% 후반의 금리 상품도 보기 어려워졌다는 시각이 팽배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금리를 고려하면 사실상 마이너스 금리시대에 접어들었다는 비관론도 빈말이 아닌 상황이다.
은퇴자 이모(63)씨는 “3년전 은행에 맡긴 5000만원의 만기를 앞두고 있지만 돈을 다시 맡길 곳이 마땅치 않아 고민”이라며 “돈을 불리는 것은 고사하고 까먹게 될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