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인 대전심리상담센터 연구소장 |
2~3세가 되는 자녀들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영아기와는 매우 다른 변화를 보인다. 호기심의 급격한 발달과 신체 행동 능력의 발달은 부모에게 더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구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부모는 유아가 외부세계의 호기심을 충족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외부세계에 대한 이해가 건강하게 발전하도록 지원을 해 주어야 한다. 자기심리학에서 어머니-유아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최적의 좌절'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적의 좌절은 아이가 완벽하지 않은 부모의 모습 때문에 좌절을 경험하지만 동시에 그 좌절감을 극복하기 위해 응집적 자기를 성장시키는 것이다. 엄마의 반응이 공감적이지 못하거나 신뢰할 수 없을 때, 유아는 자기애적 구성물에 집중되었던 리비도를 철수시키는 과정에 방해를 받게 되고, 변형적 내재화를 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신은 과대자기, 즉 절대적이며 완전한 원상에 계속 집착하게 되고, 심리구조로서의 자기를 형성시키지 못한다.
아동기에는 행동과 정서가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의 정서와 그에 따른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만일 부모가 정서 표현을 제한하거나, 나아가 특정 정서의 발생을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하거나, 특정 정서만을 인지하고 표현하도록 강요하게 되면 자녀는 정서적 발달에 심각한 훼손을 가질 수 있다. 부모는 자녀의 정서 경험에 대해 나눔으로써 정서 경험에 대한 자녀의 이해를 돕고, 적절한 방법으로 그 정서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청소년기에는 정서적 지원의 대상을 부모로부터 친구에게로 옮기기 시작한다. 정서적 지원이 부족한 부모자녀 관계일수록 그 시기와 속도는 더 빠르다. 이 시기에 어떤 면에서는 부모의 영향력보다 친구의 영향력이 더 크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독립적인 사고와 정보처리 능력이 발달함으로써 자신의 의사결정에 대해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도 부모의 일방적인 제공에서 다양한 경로로 바뀐다. 자녀는 친구, 선배, 교사, 메스컴, 서적 등을 통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습득한다. 이 시기에 부모들은 자녀가 정서적 지원체계를 다양화시키는 것을 수용하고 인정하며, 다양화된 관계들을 통해 경험하는 정서체계에 대해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심리학적 관점에서 부모는 1차적인 자기대상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부모로부터의 돌봄이 부족함을 경험한 사람은 '부모에게 의지하지 않는 아이'라는 표현을 하는데 이것은 부모를 통한 자기대상 경험이 심각하게 훼손되었음을 뜻한다. 부모를 통한 자기대상 경험 중에서 심각하게 훼손된 부분은 존경자기대상 경험의 불충분이다. 존경자기대상 경험은 주로 아버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유아기 및 아동기에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으로 아버지와의 친밀한 애착을 형성하지 못했거나 부모를 통한 자기대상 경험이 불충분할 경우,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기대상 경험을 찾아 방황하게 된다.
정지인 대전심리상담센터 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