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큰 기대를 안고 있는 부분은 실현 가능성이 높은 사업 계획이다. 시는 당초 대전산단 재생사업을 기존공단(120만7000㎡)을 포함한 주변지역(110만1000㎡) 총 230만8000㎡에 대해 전면수용방식으로 사업을 진행, 기업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추진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주변지역의 토지 및 지장물 보상비가 과다해 공공 및 민간사업자들이 난색을 보이며 난간에 부딪혔다. 대내외 경기침체 등이 원인으로 꼽혔지만, 막대한 보상금 투입은 수익성이 현저히 떨어져, 수익을 내야 하는 이들에게는 사업 참여 명분이 사라진 것이다. 이는 대전산단 재생사업 표류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상황이 오랜 기간 지속되자 마침내 대전시가 칼을 빼들었다. 그동안 고수해온 전면수용방식을 기존공단 구역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장기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것을 발표했다.
단계적·전략적 사업에 기대도 크지만 우려하는 바도 적지 않다. 많은 문제로 지적됐던 산단 내 주차난은 예산 부족 등으로 뒤로 밀렸기 때문이다. 대전산단 주요 도로는 오랜 동안 주차된 차량으로 몸살을 앓아 왔다. 마치 도로가 주차장을 방불케 할 정도다. 초행길인 운전자들은 안전운전 의식이 더욱 주의됐다. 최근 입주기업들이 주차난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공간 부족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는 상태다. 하지만, 시는 복합용지를 조성해 일부 주차 공간을 마련한다는 계획만 밝힌 상태다.
또한, 시가 내놓은 복합용지에 대해서는 근로자들의 복지타운 조성으로 혜택 등을 제공하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이를 이용하는 근로자가 얼마나 있을지, 여기에 공장부지가 부족해 탈 대전현상을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인프라만 구축하는 것이 우려스럽다는 반응이다.
산업단지 한 관계자는 “산단 내에는 상업시설 등 근로자들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이 시설만으로 산단이 새롭게 변화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전체적인 면에서는 주차장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