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언 문화평론가 |
그렇게 천 년을 살아온 내가 1965년 일본에서 전기보온밥솥이 발명되고 이듬해 우리나라도 생산하자 운명의 뒤안길에 섰다. 아예 내가 생기지도 않기 때문이었다. 바쁜 세상에서 간편한 밥 짓기의 필요성이야 얼마든 인정하겠는데, 그 맛과 효용마저 아랑곳하지 않은 까닭은 왜일까. 게다가 뜸이라는 은근한 기다림 속에 밴 나의 뜻마저 버려졌다. “하늘 천, 따 지, 가마솥에 누룽지, 박박 긁어서….” 옛날 어린 학동들의 글공부를 즐겁게 하던 추억은 또 어떻고.
그 시절이 그리워서는 아니겠으나 언제부턴가 나는 차츰 부활하고 있다. 나를 넣은 여러 조리법이 개발되고, 산이나 낚시터 같은 데서도 먹게끔 그야말로 '간편'하게 만들어진다. 나를 만드는 전기밥솥, 압력밥솥, 기구도 나왔다. 또 찜이나 탕의 남은 양념과 국물에 밥을 비비면서 일부러 눌리기도 하는데, 그것도 나다. 꼬들꼬들한 식감 때문임을 내 모르는 바 아니며, 그 짧은 기다림이 옛날의 기다림과는 사뭇 다르다는 것도 안다. 나의 아들은 숭늉이다.
나는 숭늉이다. 어머니인 누룽지가 다시 물과 함께 한소끔 끓으면 내가 된다. 그래서 나는 어머니와 분리될 수 없다. 어머니는 내게 당신의 피와 살을 최대로 녹여주시고는 낮게 갈앉아 계시다 사람들의 모자란 배를 다시 채워주신다. 어머니의 구수함은 나에게로 와 부드러운 약(藥)으로 완성된다. 유식한 말로 자랑하면, 소화 촉진, 항산화, 항암, 지방 분해, 숙취 해소의 효과를 줌은 물론 당뇨, 비만, 뇌혈관 질환의 예방에 이바지한다.
내 이름 '숭늉'은 한자말 '숙랭(熟冷)'에서 왔다. 이 숙랭은 원래 '숙랭수(熟冷水)'로서 '찬물을 익히다' 또는 '익힌 찬물'을 말한다. 나에 대한 옛 기록은 여럿인데, 12세기 '계림유사'(손목), '고려도경'(서긍), 그리고 17세기 '동의보감'(허준), 18세기 '노가재연행일기'(김창업) 등이 그것들이다. 특히 '동의보감'에는 취건반(炊乾飯)을 끓여 약으로 썼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여기서 취건반이 바로 우리 어머니 누룽지다.
음식을 목구멍으로 잘 넘기지 못하거나 넘긴다 해도 위에까지 이르지 못한 채 토하는 열격에는 한 해 묵은 취건반을 여울물로 달여 으깬 뒤 즙으로 먹이고, 그렇게 해서 밥을 먹을 수 있게 되면 본격적으로 약을 쓴다고 하였던 것이다. 열격은 위암, 식도암, 식도 협착이나 경련 따위를 이른다. 짜고 매운 음식으로 산성화한 맛을 입가심하게 하면서 더부룩한 속까지 개운하게 해주는 것이 나의 본디 역할이다.
100여 년 전부터 서양과 근대를 상징하는 커피에 밀리던 나와, 나의 어머니 누룽지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그러나 내 어머니와 나의 가치는 겉으로 드러나는 맛과 효용에만 있지 않다.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다'는 역설적 속담처럼 모든 일에는 순서와 질서가 있고, 그 순서와 질서는 기다림의 미학을 바탕으로 한다. 우리의 구수함과 약성도 좋지만 우리를 있게 한 '뜸'에도 주목해주길 바란다. 그 뜸이 바로 문화다.
누룽지와 숭늉의 말을 듣고 필자는 스스로를 돌아본다. 단기적이고도 가시적인 결과만을 첫째로 치는 우리와 우리 사회의 얄팍함이 새삼 허허롭다.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었거나 찬밥을 억지로 눌린 누룽지보다는 솥이나 냄비에서 밥뜸을 들일 때 자연스레 생기는 누룽지와, 그 끓인 숭늉을 가끔씩은 잡숫고 싶지 않으신가. 자녀들과 함께라면 더욱 좋을 것이다. 우리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들이여, 누룽지와 숭늉의 참뜻을 새길지어다.
박상언 문화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