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차원에서 무형문화재 예·기능 교육 기회를 제공해 학생을 비롯한 도민의 관심을 늘리고 일상생활에 접목하는 등 실제 전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화 하자는 것이다.
22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에는 현재 56종목의 무형문화재가 있다.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는 8종목, 도 지정 무형문화재는 48종목이다.
그런데 현존하는 56종목 무형문화재의 보유자는 모두 59명이지만 이를 전수받는 조교는 43명뿐이다. 이마저 수입이 많은 등 인기 종목에 쏠림 현상이 발생해 공식적으로 56종목 중 32종목에만 조교가 있다. 다만 이수자 등 비공식 전수자는 있을 수 있다.
문제는 무형문화재를 이어받을 조교가 없으면, 보유자 사망 등의 상황 시 영락없이 대가 끊기게 된다는 점이다. 실제 이런 이유로 충북 영동의 내포제 시조창은 명맥이 끊기기도 했고, 도내 무형문화재 24가지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이처럼 도내에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간직한 무형문화재는 풍부함에도 계승 및 발전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때문에 무형문화재 인력양성 교육을 위한 기능학교 설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집을 지을 때 활용하는 대목장(무형문화재 74호) 등은 일상에 접목해 일자리를 창출하거나 고전미를 알릴 수도 있다.
사실 국내에는 이미 비슷한 성격의 기능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전국에 4개 정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문화재청 소속 한국문화재재단에서 운영하는 서울의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나 전북도립 고등학교인 전주의 한국전통문화고, 사립기관인 대구목공직업전문학교 등이 그것이다. 여기에 도내에도 문화재청 소속 국립대학교인 부여의 한국전통문화대가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기능 익히기가 까다로운 무형문화재의 특성상 고교 등 더 이른 시기에 교육을 시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도가 문화재 전수 등에서 타 시·도보다 앞서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기능학교 운영에는 도내 특성화고 내에 기능 교육과정을 설치하는 방안이나 별도 시설에서의 강좌 개설 등 두 가지가 제시된다. 이를 위해서는 도의 지원도 절실한데, 다행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도 관계자는 “무형문화재 전승을 위한 기능학교 설립 등이 추진된다면 도에서도 적극 도울 생각”이라고 밝혔다.
내포=유희성 기자 jdyh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