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청의 교직원 행정업무 합리화 추진은 최교진 교육감 취임 당시부터 지속 검토한 역점 사업이라 더욱 이목을 끈다.
'아이들이 행복한 세종교육' 실현 차 불필요한 행정업무 및 불합리한 업무관행을 뿌리뽑겠다는 핵심 개혁안이기 때문이다.
혁신학교를 통한 체질개선과 고교 평준화 등과 못지않은 변화 요소를 담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로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신설 학교 내에서는 지나친 업무부담을 호소하는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밤늦은 시간까지 야근이 일상화되면서, 일부 교사들은 미래 명품 세종 교육실현 꿈을 접은 채 타 시·도 전출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는 출범 초부터 숙제를 해소할 수있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란 기대감을 낳고 있다.
이는 현장 교사와 일선 행정직원들의 업무 경감 정책들이 다수 제출된 데서 찾을 수있다.
아직 효과 측정에 나서기엔 이르지만, 이들의 야근 횟수는 그만큼 줄고 정규시간 내 본연 업무 집중도가 향상될 것이란 분석이다.
방학 연수결과물 의무 제출과 형식적 차 및 다과 응대문화, 가정통신문 발행번호, 교육청 누리집 학교소식란 등 7개 폐지항목도 혁신정책으로 두드러졌다.
문제는 본청 업무 가중에 따른 역민원 소지를 안고 있다는 점이다. 본청이 여타 시·도와 달리 중간고리 역할인 지원청 기능을 동시 수행해야하는 만큼, '아랫돌빼서 윗돌괴기' 모양새로 전락할 수있단 얘기다.
이에 대해 이진석 부교육감은 “타 시·도보다 일의 양이 많은 건 사실”이라며 “교육부와 단층제 구조 특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타 시·도보다 1.2~1.3배 인력 증원이 가능할 것으로 안다. 이를 통해 본청 업무가중 요인을 해소할 것”이란 대안을 제시했다.
본청 및 각급 학교 부서간 칸막이 해소 방안이 빠진 점도 보완과제로 부각됐다. '업무 떠넘기기'와 '격무 기피부서' 문화가 존재하고 있는 이상, 업무 합리화는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인식에서다.
최교진 교육감은 “자신의 업무에만 집중하다 보면, 타 부서 진행상황을 몰라 겹치는 경우 등이 발생한다. 그만큼 원활한 소통이 중요하다”며 “매주 과장급까지 진행하는 주간업무 공유 회의 효과를 극대화하겠다. 작은 차이라도 합의해가는 토론문화를 만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