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선의 대전시교육감 출신으로 친정인 대전교육청을 비롯해 충남ㆍ북 등 충청권에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기대했던 지역 교육계나 퇴출ㆍ정원 감축 등 사활이 걸린 구조개혁평가를 앞두고 김 차관의 영향력이나 정보력을 내심 기대했던 대학들 모두 김 전 차관이 6개월도 채우지 못하고 경질되면서 배경과 향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우선 교육계는 업무 수행에 있어 별다른 실책이 없었던 김 전 차관이 별다른 이임식 없이 자리에서 물러난데 대해 정부가 교육계 전반의 개선을 추진하려는 의도로 보고 있다.
진보 교육감들이 대거 당선되면서 지난해 8월 말 차관으로 임명됐던 김 전 차관은 진보와 보수사이의 균형을 잡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지난 해부터 전국 시ㆍ도교육감들과 교육부가 누리과정 어린이집 예산을 놓고 갈등을 빚은데다 올해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개선 등을 놓고 마찰을 예고하는 등 지역 교육청 장악에서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실제로 교육계는 신임 차관으로 박근혜 정부의 실질적인 교육정책의 밑그림을 그린 김재춘 청와대 비서관이 전격 임명되자, 교육계의 주요 현안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대 교육학과 출신으로 영남대에서 교수 생활을 했던 김 신임 차관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제도 개선과 대학 구조조정, 시도교육청 장악, 대입제도 개선 등 주요 교육 현안에서 주도권을 잡고 추진할 수 있는 현 정부의 실세로 꼽힌다. 광주 출신으로 다소 진보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도 진보 진영 교육감들과의 정책 협조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선 김신호 전 차관이 내년 총선에 대비해 자리에서 물러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실제로 교육부 안팎에선 '김신호 전 차관이 지난 주 청와대에 사의를 표명했으며 내년 총선에 나갈 준비를 하고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교육부 차관으로 임명되기 전부터 총선 출마얘기가 거론된데다 현재 김 전 차관의 거처가 있는 유성구의 선거구 분구 가능성이 높은 것도 이같은 해석을 더하고 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