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교복논란을 일으켰던 대형업체들이 공동구매제 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하면서 학교주관구매제가 흔들리고 있어 당초 의도했던 가격인하 효과라기 보다는 공동구매제를 무산시킨후 다시 교복값을 올리려는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부터 대전시내 공립 중·고교 모든 학교에서 학교주관 구매제를 실시하지만 실제 참여하는 학생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주관 구매제는 학교가 경쟁입찰을 받아 교복 공급업자를 선정해 저렴한 가격에 교복을 공동 구매하는 방식으로 지난해 교육부가 국공립 중·고교를 전수 조사한 결과 대전의 경우 학교주관구매 교복 평균 입찰가는 16만9021원으로 개별 구매 평균가 24만8000원보다 31.8%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지난 2일 고등학교 입학 배정자들을 대상으로 한 예비 소집에서 학교주관 공동구매제 수요조사 결과 상당수 입학 예정자들이 이미 교복을 구매했거나, 개별 구매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공동구매를 통해 교복을 구입하려고 한 학생은 전체 신입생의 20%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학교주관구매제가 시중에 판매하는 교복가격에 비해 저렴한 데도 불구하고 공동 구매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인근 대형 업체들이 브랜드와 가격을 내세운 전방위적인 공략 때문으로 풀이된다.
예비소집일 당일에도 인근 대형 업체들은 공동구매제도 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더 좋은 질의 교복을 판매한다는 전단지를 신입생들에게 나눠주는가 하면 교복 한벌에 15만원이라는 대형 현수막을 내걸며 신입생들의 눈을 끌고 있다.
학교주관구매제를 통해 낙찰된 업체 대부분이 중소업체들이어서 이같은 대형업체의 물량 공세에 맥을 못추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소업체들은 “학교와 업체들이 정상적으로 맺은 계약을 제3자인 대형업체들이 끼어들어 방해하고 있다”며 소송전을 예고하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공정위에 대형업체들의 행동이 불공정 거래나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 질의해 놓은 상태”라며 “차라리 교육부가 일방적으로 학교에서 공동 구매를 하도록 밀어붙이기 보다는 평가 위원단을 만들어 원단과 수요 등을 조사해 적정 가격을 제시하는 편이 혼란을 줄일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