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당초 정윤회문건 파동을 지난 9일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어느 정도 털고 박 대통령의 기자회견을 통해 집권 3년차 국정 목표 및 과제 등을 국민들과 정치권에 알리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었다.
박 대통령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착실히 이행하고, 노동시장·공무원연금·금융부문·공공기관 등 4대 분야를 포함해 사회 전반에서의 구조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남북 정상회담 등과 관련된 깜짝 제안 등을 구상했었다. 그러나 청와대 김영한 민정수석비서관의 9일 국회 출석 거부라는 '항명 사태'가 빚어지면서 지난 7일 이후 공식 일정을 이틀씩이나 빼고 야심차게 준비해 온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의 방향이 틀어지게 생겼다.
청와대는 운영위가 열린 다음날인 10일 김 전 수석을 면직 처리한다고 공식 발표했으나 여론이 반전되지는 않는 분위기다.
새정치민주연합은 9일부터 대변인 성명과 논평을 통해 김기춘 비서실장과 비선실세의 인적쇄신을 요구하고 나섰다. 또한 새누리당 옛 친이계 의원들도 여러 언론 인터뷰를 통해 청와대를 압박하고 있다.
청와대의 고민은 인적쇄신 조치를 구체화할 경우, 신년 기자회견이 '사과 회견'냄새가 짙어 당초 기획 의도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감을 갖고 있는 듯하다. 이러면 경제살리기와 국정 4대 과제 완수라는 핵심이 인적쇄신책에 묻혀 버릴 가능성이 높기때문이다. 반대로 인적쇄신에 대한 언급이 미흡하면 국민들과 정치권으로 불통이라는 이미지를 더 각인시켜 주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어 이래 저래 머리가 아프다.
인적 쇄신 요구가 받아들여진다면 우선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이 제 1순위로 포함될 전망이다. 그러나 김 실장은 김영한 전 수석의 항명 사태가 빚어진 후에도 자리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표현을 써가며 자신의 사퇴 카드를 적절한 시기에 던질 것임을 시사했다.
야당 의원들의 용퇴를 묻는 질문에는 “물러날 때 물러나더라도 지금은 제가 맡은 소임을 열심히 하겠다”며 이중적 스탠스를 취했다.
청와대 참모들은 11일 휴일임에도 출근을 해서 청와대 비서실의 기강을 어떻게 세우고 이를 국민들에게 알려야 할지 숙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오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