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광장]자기개념변화에 따른 성장상담의 필요성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여론광장]자기개념변화에 따른 성장상담의 필요성

정지인 대전심리상담센터 연구소장

  • 승인 2014-12-02 14:27
  • 신문게재 2014-12-03 19면
  • 정지인 대전심리상담센터 연구소장정지인 대전심리상담센터 연구소장
▲정지인 대전심리상담센터 연구소장
▲정지인 대전심리상담센터 연구소장
'자기'에 대한 정의를 미첼(S.A.Mitchell)과 블랙(M.J. Black)은 정신분석학에서 “프로이트는 자기라는 개념을 단지 일상적이고 비체계적인 의미로 사용했다. 하트만은 자기를 '자아 안에 있는 표상'이라고 조심스럽게 추상적인 의미로 정의하였다. 제이콥슨은 선천적 요소, 욕동, 자아발달, 타인과의 관계들이 단계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자기를 형성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자기를 중심적인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코헛에게 있어서 자기는 '성격의 핵'이자, 그 자신의 동기적 힘을 가지고 '자신의 타고난 특정 행동을 실현하고자 하는' 주도성의 중심”이라고 말하고 있다.

자기개념은 '자신의 신체적 특성, 개인적 능력, 가치관, 사회적 역할 등 자신에 대한 자기 지각의 총체'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자기” 또는 “나”로 인식되는 자기 개념은 개인이 일생동안 경험하는 기쁨과 고통의 균형을 조절하며, 자기존중감을 유지시키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경험을 조작하는 기능을 한다. 자기개념의 변화는 일생 동안 일어나는 현상이기는 하지만, 15세와 20세 사이에서 더욱 현저하게 일어난다. 왜냐하면 이 시기 동안 급격히 팽창하는 지적 성장은 자신에 대해 세련되고 분화된 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기 청년들은 자신을, 아동기에 기술하던 양식보다 더 복잡하고 주장적이며, 심리적인 특성을 갖는 존재로서 기술한다.

청년 초기에는 자기개념이 급격히 발달하기는 하나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이상이 지나치게 높아, 이유 없는 반항이나 독단적인 경향이 나타나기 때문에 자기개념이 불안정하다. 그러나 청년후기에는 자신과 사회를 조화시키고 이상과 현실을 타협시킴으로써 자기개념이 안정된다. 구조적으로 청년들은 상황에 따라 자신의 특성을 개념화시켜, 구체적 상황과 연결된 자신의 특성과 속성을 기술하며, 자신의 특성에 대해 타인의 견해와 자신의 의견을 구분하여 기술하고, 자기의 특성을 보다 논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전체로 통합할 수 있다. 여기에 덧붙여 청년들은 현재의 자기에 대한 지각인 실제적 자기(actual self)와 미래에 되기를 원하는 이상적 자기(ideal self)를 구별할 수 있으므로, 청년들은 이상적 자기가 되기 위하여 자기를 개선시키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자기 발달을 이룬다.

청년기 자기개념의 특징은 첫째, 청년기의 자기개념은 중다영역적인 특징을 갖는다. 아동들은 자신의 장단점을 지각할 때 일반적으로 학문적 유능성, 운동능력, 행동수행, 사회적 수용, 신체적 외모만을 사용하는데 비해, 청년은 여기에 직무수행능력, 우정, 매력의 영역 등을 사용한다. 둘째, 청년후기에는 아동기에 있었던 자기개념의 하위영역들이 통합을 이루게 된다. 초기청년기에 겪었던 다양한 영역을 지각하면서 생기는 혼란이 이 시기가 되면 사라진다. 셋째, 청년후기에는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를 구별할 수 있다. 이 때,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가 조화를 이루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 오고, 반대로 불일치가 크면 실망감, 불안, 우울, 두려움 등 심리적 부적응을 일으킬 수 있다. 넷째, 불일치된 자기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청년들은 선입견을 갖기 쉽다. 자신을 특별한 존재로 인식하는 '개인적 우화'나 모든 사람이 자신을 주시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자의식이 발달할 수 있다. 다섯 째, 청년기의 자기는 매우 가변적이다. 자기개념이 통합되어 가는 과정에서 시간이나 상황은 청년 스스로 자기개념을 확립하는데 민감한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건강한 미래를 준비 해야만 하는 청년들에게 자기개념에 대한 재정립의 기회로 성장상담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자기개념은 개인에게 목적을 제공하고 삶의 의미를 제공하며, 자기촉진적(Self propelling), 자기지향적(Self direted), 자기유지적(Self sustaining) 단위체제로서 기능하게 하는 동기적 힘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3.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4.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5.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