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대전소방본부에 따르면 폭발사고는 연구실이나 화학공장에서 주로 발생했으며, 특수 화학물질이 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폭발을 예상하기도 사고 후 원인을 밝혀내기도 어려웠다는 공통점이 있다.
때문에 이들 연구실이나 화학공장에 대해 화학물질 전문기관이 안전점검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다.
2010년 1월 대전 대덕구 대화동의 한 화학물질 제조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근로자 1명이 화상을 입는 사고가 있었다.
당시 공장에서는 3류 위험물인 테트라키스 타이타늄이라는 화학물질을 만드는 작업 중 여과필터 연결배관에 잔유물이 저항열을 일으켜 폭발한 사고로 추정됐다.
또 2010년 8월에는 또다른 공장에서 성질이 다른 화학물질의 반응열에 의해 폭발이 있었고 2011년 청소를 하던 중 화학 폭발사고 그리고 2012년 마그네슘이 수분과 반응한 폭발사고가 대전에서 발생했다.
이처럼 대전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화학 폭발사고 10건은 소방 전문가들 조차 생소한 화학물질 또는 위험물질이 반응을 일으켜 발생한 사고였다.
특히, 대전의 연구실과 화학공장에서 취급하는 위험물질·특수인화물 종류가 다양하고 화학 반응에 어떤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상태다.
지난달 폭발사고가 난 대화동 화학물질 공장도 최소 14종 이상의 특수인화물을 처리하고 있었으며, 이들 물질 중 어떤 성분이 세척장에 유증기를 만들어냈는지 현재까지 조사 중이다.
문제는 화재를 진화하고 예방하는 소방당국만으로 수많은 위험·화학물질의 안전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화학물질의 특성과 상호 반응에 대한 위험성은 소방당국도 파악하기 어려운 분야로, 연구실 또는 기업체 작업자들이 알아서 주의를 기울여야하는 게 현실이다.
때문에 화학 폭발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업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측정하고 적절한 방재장비를 제시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다.
대전소방본부 관계자는 “화학폭발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공정을 설명해도 전문분야이고 복잡해 사실관계를 파악하는데도 시간이 걸린다”며 “다양한 화학물질의 반응과정을 안전하게 통제할 수 있느냐가 사고를 예방하는 관건”이라고 말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