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축제와 문화축제를 구분 없이 동일 선상에 놓고 구조조정 대상에 올려 놓으면서 지역 문화계에서는 문화축제가 대거 사라지는 것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16개 축제를 대상으로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팀 운영에 들어가는 한편 16개 축제를 대상으로 통·폐합 등 축제운영 개선 취지를 밝혔다.
시가 구조조정하겠다고 밝힌 축제는 ▲국제 푸드&와인페스티벌을 비롯한 ▲국제기타페스티벌 ▲국제합창페스티벌 ▲견우직녀축제 ▲마을합창축제 ▲대전오색빛축제 ▲드라마페스티벌 ▲디쿠페스티벌 ▲숲속의 관현악 축제 ▲시민천문대 별축제 ▲우리농산물큰잔치 ▲호락호락페스티벌 등이다.
이들 축제 가운데 와인축제와 시민천문대 별축제, 농산물 큰잔치 등 3~4개를 제외하면 모두 문화축제다.
문제는 문화축제와 관광축제의 본질이 다른데 축제의 성격이나 취지 분석 없이 일률적인 구조조정을 할 경우 지역의 문화축제 자체가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관광축제는 인삼축제나 머드축제처럼 관광객들이 즐기고 지역의 수익을 창출해 내는 성향이 크지만, 문화축제의 경우 지역민들의 문화 수준 향상과 문화복지의 개념이 큰만큼 지원이 없을 경우 축제 존폐가 불투명하다.
지역의 각 구 문화원에서 운영하던 문화축제들이 예산 지원이 끊이면서 모두 사라져버린 것과 같은 맥락이다.
국제합창페스티벌의 경우 국내 유일한 대통령배 합창대회라는 명성이 있고, 수년간 지원을 통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기타페스티벌, 젊은이들을 위한 축제가 없는 대전에 유일한 호락호락 페스티벌 등을 없애버리기에는 상징성이 크다.
지역 문화계 관계자는 “문화축제는 관광축제와는 다르다. 문화축제를 낭비성 축제로 보고 통폐합할 경우에는 지역에는 살아남을 만한 문화 축제가 한 건도 없을 것”이라며 “타 지역의 명성있는 문화축제들 상당수가 지자체가 오랜시간 예산 지원을 하고 관심있게 지켜나가고 있기 때문에 명성을 갖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난립하는 축제에 대한 논란이 컸기 때문에 전반적인 점검 차원의 축제 태스크포스팀이다. 꼭 없애겠다는 목적을 둔 것이 아닌 만큼 다각도의 의견 수렴을 통해 결정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