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들어서도 동일한 현상은 되풀이된다. 최근 몇 달간 88개 기업을 유치해 앞길이 유망하고 금산 등 일부 남부권에 유치 실적이 있지만, 서북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들어오는 대세는 변하지 않았다. 지난 4년간 심하게는 지역 간 72배 차이가 났다. 평면적인 비교는 무리가 있지만, 799개(천안) 대 11개(청양) 기업 유치 성적표가 그 예다.
이처럼 기업 유치가 특정 지역에 쏠리는 것은 충남만의 일은 아니다. 다른 시ㆍ도를 가봐도 이와 비슷한 편중으로 균형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미래 투자가치와 기존 인프라를 따지는 기업 입장을 헤아리면 분산 입주를 쉽게 유도하거나 권유할 처지는 아닐지 모른다. 그럼에도 기업 유치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내 균형발전은 항시 같이 지니고 다녀야 할 명제다.
똑같은 충남이라도 기업 이전지로서 특히 천안과 아산, 당진이 인기를 끄는 것은 기간산업과 인프라가 잘 갖춰진 점도 있지만 수도권 근접성의 이점이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수도권에서 옮겨온 기업 70%가 서북부 세 도시에 집중된 이유도 이와 같다. 기업 투자 환경과 기반 여건을 가리지 않을 수 없는 까닭에서다. 수도권 기업이 이전 마지노선을 당진으로 설정할 형편이고 보니 그 이남 지역은 기업 유치가 용이하지 않다.
그래도 놓치지 말 것이 있다. 기업 분산 이전은 수도권에 집중된 경제력을 지방으로 분산시킨다는 사실이다. 낙후지역 투자 유치를 위해 충남도 국내기업 투자 유치 촉진 조례와 시행규칙을 적극 활용하고 관련 예산을 증액 편성해야 할 것이다. 체계적인 지원과 저렴한 땅값 등 기업이 눈독들일 아이템을 더 개발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소외된 시ㆍ군 지역까지 기업이 속속 입주해 효과를 두루 누리게 해야 한다. 기업 유치의 지역 편중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겨졌다.
서남부권 및 내륙까지 기업 유치 훈풍이 불게 하려면 민선 6기에서 기업 유치 방향을 지역 불균형 해소로 잡지 않으면 안 된다. 때로는 세종이나 충북과 연계 협력 또는 초광역 차원의 접근을 모색해야 할 경우까지 염두에 두길 바란다. 기업 유치의 열매가 고루 분산되는 정책과 행정적 노력이 요청되고 있다. 도내 지역 간 균형발전을 이끄는 데 한계가 있다면 이를 뛰어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충남형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