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로 가로수 6개월만에 고사

  • 전국
  • 금산군

금산로 가로수 6개월만에 고사

郡, 경험없는 조경회사와 수의계약… 전문가, 부실시공·관리미흡 등 지적

  • 승인 2014-06-23 13:27
  • 신문게재 2014-06-24 14면
  • 금산=송오용 기자금산=송오용 기자
▲ 금산로에 조성한 왕벚나무 가로수가 심은 지 6개월만에 모두 말라 죽었다.
▲ 금산로에 조성한 왕벚나무 가로수가 심은 지 6개월만에 모두 말라 죽었다.
금산로에 조성한 왕벚나무 가로수가 심은지 6개월도 안돼 모두 말라죽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가로수 시공 경험이 없는 조경회사에 수의계약으로 발주한 공사로 관리부실이라는 지적이다.

문제가 되고 있는 공사는 남이면 보석사 3거리에서 진안군 용담방향 500m여 구간의 왕벚나무 가로수길.

이곳에 심어진 41그루의 왕벚나무 가로수가 여름철에 접어들면서 잎이 모두 노랗게 말라 죽었다. (주)우림조경이 시공한 가로수길로 지난해 12월 19일 금산군이 수의계약으로 발주한 공사다.

총 공사비는 1070만원으로 2013년 23일 공사에 들어가 4일만에 공사를 마치고 지난 1월 3일 준공검사를 받았다. 올 4월 중순까지는 벚꽃이 만개해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으나 여름철에 접어들면서 잎이 시들기 시작했다. 그러다 이달 들어서면서부터 38그루의 가로수 잎 대부분이 노랗게 말라 죽어가는 고사현상이 진행됐다.

지금은 가로수 앞을 만지면 바스락 거리며 쉽게 툭툭 떨어져 나가 말라 죽은 것으로 확인됐다. 올 봄에는 꽃까지 활짝 피웠던 가로수가 고사한 것은 이어진 가뭄과 고온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식재 후 지속적인 나무를 관리하지 않은 이유가 더 크다는 지적이다. 도로 비탈사면의 사질토에 심은 가로수로 물 주기 등 뿌리 활착을 위한 사후관리가 부실했던 것이다.

지역 한 조경 전문가는 “가로수를 심은 토질이 사질토로 뿌리 활착이 어려운 환경으로 가뭄에 견디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물을 주는 등 관리가 필요했으나 미흡했던 것 같다”고 조언했다.

한 마디로 기후 탓도 있지만 이 보다는 시공사의 경험부족과 관리부실이 고사의 원인이라는 얘기다. 실제 시공사는 설립 1년도 안된 신설 조경회사로 지금까지 가로수 식재 시공경험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전문성이 없는 조경회사를 시공사로 선정한 수의계약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다.

이에 대해 금산군 산림정책과 관계자는 “뿌리가 제대로 활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뭄으로 말라죽은 것 같다”며 “하자기간이 2년인 만큼 장마가 끝난 후 전수 조사 후 고사목을 파악해 재식재 조치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금산=송오용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교 떠나는 학생들… 대전 학업중단 고교생 한해 800명 달해
  2. 태안에 '탄소포집형 수소생산기지' 만든다
  3. 김태흠 충남지사, 2026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앞두고 분야별 상황 점검
  4. 충남도 '2025 수출기업 최고경영자(CEO) 포럼' 개최
  5. 충남도-15개 시군 정책현안 논의… "공조체계 굳건히"
  1. ‘충남TP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개소
  2.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2025년 천안문화도시 리빙랩 참가자 모집
  3. [사설] 대전교도소 이전, 대선 국면 돌파구를
  4.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5. [사설] 석탄산업 퇴장 이후 일자리 대안 뭔가

헤드라인 뉴스


檢, 문재인 전 대통령 전격기소…대선정국 파장 촉각

檢, 문재인 전 대통령 전격기소…대선정국 파장 촉각

문재인(72)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모(45)씨의 항공사 특혜 채용 의혹 등을 수사해온 검찰이 문 전 대통령을 뇌물수수 혐의로 재판에 넘긴 것을 둘러싸고 정치권이 뜨거운 공방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명백한 정치보복이라며 검찰을 해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국민의힘은 누구라도 법 위에 설 수 없다며 향후 나올 법원 판단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대립각을 세웠다. 6·3 대선을 40여 일 앞두고 검찰이 문 전 대통령을 전격 기소한 가운데 이 사안이 대선정국 민심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촉각이다. 전주지검 형사3부(배상윤 부장검사)는 24일..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세종 집값 1년 9개월만 최대 상승폭 기록… 대전 풍선효과 수혜 볼까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세종 아파트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1년 5개월여 동안 30~40%가량 하락했던 세종시 집값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이전 수준까지 회복할지 주목된다. 여기에 세종시와 인접한 대전 등 지역이 '풍선효과' 수혜를 받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4월 셋째 주(21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23% 상승해 전주(0.04%) 대비 무려 6배 가까운 급등세를 보였다. 2023년 11월 20일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세종 집값은 지난주 70주..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8년 만에 괘불 국보 추가

우리나라 괘불도 양식의 시초로 평가받는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가 국보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불화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괘불도(掛佛圖)'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을 할 때 거는 대형 불화로, 조선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됐다. 현재 전국에 약 120여 점이 전하며, 이 가운데 국보 7점, 보물 55점이 포함돼 있다. 이번 국보 지정은 1997년 7점의 괘불이 동시에 지정된 이후 약 30년 만이다. 국가유산청은 "화기(畵記) 등 기록을 통해 제작자와 제작..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탑승했던 카트입니다’

  •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옷가게는 벌써 여름준비

  •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책 읽기에 빠진 어린이들

  •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 ‘봄꽃 구경하러 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