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지인 대전심리상담연구소장 |
현재 자기애는 이상심리학에서 성격 특성을 기술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수용되고 있으며,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성격장애의 주요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정신병리적인 특성은 인간의 일반적 생활양상 및 심리상태의 한 극단에 위치한다. 자기애적 특성을 가진 사람이 모두 병리적 특성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기저에 그 같은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인지적 특성으로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한다. 객관적인 현실이나 남들이 자기에 대해 평가하는 것보다도 자신이 더 유능하다고 믿는다. 이들은 또한 자신은 태어나면서부터 다른 사람과는 달리 특별하게 대우받아야 할 특권의식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자신이 당연히 특별대우를 받아야 하며, 내가 바라는 것은 다른 사람의 소망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는 뿌리 깊은 신념을 가지고 있다. 타인과 공동으로 작업을 했을 때, 성공을 하면 이들은 그 원인을 전적으로 자신에게 돌리며, 반대로 실패를 했을 때는 상황적 자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거나 공동작업자의 잘못으로 돌린다.
누군가가 자신의 단점을 지적하면 이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으며, 자신을 시기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의식적으로는 자기 자신에 대해 긍지를 느끼는 자존감이 높지만, 이 자존감은 진정한 자존감이라기보다는 방어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깊은 내면에 존재하는 자기개념이 부정적이고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를 직면하지 않으려는 방어이다. 그 결과 겉으로는 과도한 긍정적 자기평가와 자기과시적 행동을 보임으로써 의식적으로는 긍정적인 자존감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행동과 인지양식 이면에는 실상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열등의식이 내재되어 있어, 매우 상처받기 쉽고 불안정할 수 있다. 또한 행동특성으로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대개 건방지고 거만하게 보인다. 스스로를 우월하다고 믿고, 그에 따라 행동한다. 자신들은 사회적인 책임으로부터 면제되었다고 느끼며, 타인의 권리에 무관심하고 이를 무시한다. 자만에 가득 차 있고 허풍이 심하며 제멋대로인 경우가 많다.
자신들이 선천적으로 우월하다는 비합리적인 믿음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특별대우를 요구한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배려해 주거나 양보를 해준다고 할 지라도 이를 고마워하기보다는 아주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타인을 대할 때 매우 자신있게 행동하며 타인에게 자신이 어떻게 비추어질지에 대해서는 잘 인식하지 못한 채 매우 외향적이고 스스럼없이 행동한다.
따라서 처음 만나는 사람들은 이들을 매우 사교적이고 외향적으로 보게 되지만 조금 지나면 과도한 자기과시나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는 행동을 보게 된다. 코헛은 이러한 자기애가 병리적으로 파괴적인 형태를 띌 수 있지만, 적응적 가치와 현대적 삶에 잠재적 공헌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여겼다. 따라서 코헛은 자기애를 어떻게 '없애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건설적인 목적에 맞게 '이용하느냐'에 초점을 맞추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나 가족들은 원초적 자기애를 성숙한 자기애로 변형하려는 노력을 해야 하고 또는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 노력 중에 하나가 전문상담자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