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인순 전 한국원자력연구원장 |
과거 40년을 회고해보면 우리국민의 저력을 알 수 있다. 모든 국가의 과학수준을 가늠하는 과학논문색인(SCI) 건수가 1976년에 처음으로 35건 게재되었고 지금은 매년 2만건에 달하고 있다. 이는 1970년대의 대한민국은 과학의 최후진국이었으며,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과학기술을 진흥하는 나라로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다.
1973년에 기본계획이 확정되면서 시작된 대덕연구단지는, 1978년 한국표준연구원이 처음으로 개원하면서 본격적으로 대덕의 시대가 열리면서, 현재는 출연연 30곳, 대학 5곳, 기업체 1312곳, 공공기관 11곳, 국공립기관 14곳, 기타 비영리기관 29곳, 총 1400여 기관을 거느리는 과학의 메카로서, 2012년 말 기준으로 박사 1만 333명, 석사 1만 856명 등 총 2만 7000여명이 연구업무에 임하고 있다. 모든 역사가 그렇듯이, 대덕연구단지도 여기까지 오기까지 숱한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 당시 가난한 국가 살림으로 연구비와 연구시설이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해, 연구할 최첨단연구시설이 없어, 우리의 몸으로 장비를 대신하는 힘든 연구로서 일주일에 80시간 이상 연구를 할 만큼 연구에 대한 열정만은 대단했다. 특히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로 국내·외의 원자력연구소의 패쇄 논란 끝에, 궁여책으로 한국원자력연구소를 한국에너지연구소로 치욕적인 창씨개명의 아픔이 있었다(1990년 다시 원자력연구소 이름을 찾다). 1979년 외환위기로 연구소 통폐합과 구조조정으로 많은 연구원들이 연구소를 떠나야하는 뼈아픈 고통이 있었으며, 연구원 정년이 65세에서 61세로 축소되면서 연구원들의 열정과 사기에 찬물을 끼얹는 어려움도 있었다. 이런 와중에서도 많은 연구원들의 끈질긴 연구열정이 결실을 맺어, 정보통신강국으로, 원자력발전강국으로, 지대공 지대지 미사일을 개발하고, 하늘에는 우리의 위성이 나는 등 많은 연구성과를 냄으로써 한국경제를 이끌어온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자 이제 새로운 40년을 맞는 이 시대에 우리의 각오는?
연구개발은 인적자원 연구시설 연구예산 프러스 연구원들의 창의력과 열정과 끈기에 또 하나 국가의 기초연구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있어야 한다. 새로운 40년을 맞이하면서 우리연구원들이 맨 먼저 꼭해야 할 일이 있다면 우리 내면에서 솟구치는 창조적인 자기혁신이라 생각한다. 달걀을 밖에서 깨면 프라이밖에 안되지만, 안에서 깨고 나오면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듯이, 융합과 창조경제시대에 걸맞은 혁신과 내공을 쌓는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인간의 손에 세계를 쥐어주었다는 평가를 받는 스티브 잡스가 “내가 소크라테스와 점심을 한 끼만 함께 할 수 있다면 애플의 모든 기술을 다 내 놓겠다”는 말을 과학을 하는 이 시대의 연구원들이 반드시 귀 담아들어야 할 것이다. 정말 다행인 것은 과학비즈니스벨트와 함께 건설되는 기초과학연구원은 대덕특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폭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기초연구와 응용연구의 융합이야 말로 미래 한국의 창조경제를 이끌고, 동시에 한강의 기적을 대덕의 기적으로 이끌고 갈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정부와 대전시는 힘을 합쳐 하루빨리 이 사업을 매듭짓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정부당국자나 연구원이나 '과학은 시간과의 싸움'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더 이상 시간을 낭비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덕을 국제과학도시로!
나는 대덕특구가 외국인이 반 이상 거주하는 명실공히 국제과학도시가 되었으면 한다. 오늘의 미국은 전 세계 젊은이들을 불러들어 교육을 시키면서 미국의 기초과학을 육성했다고 한다. 우리도 많은 외국의 젊은이들이 대덕에서 가족들과 함께 공부하고 연구하고 이곳에 정주할 수 있도록 교육시설 의료시설등 모든 것을 갖추어 대덕이 명실공히 국가과학기술의 메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내가 대덕연구개발특구 40년사 편집위원장과 동시에 대덕연구개발특구 40주년 기념행사 추진위원장을 맡으면서 느끼는 것은 40년전의 박정희 대통령과 지금의 박근혜 대통령이 가지는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대한 남다른 애정이 우연이 아닌 어떤 숙명적인 것 같아 기술선진국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보는 것 같아 행복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