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웅진(공주), 사비(부여)를 일본의 뿌리로 믿는 구마모토 출신의 양식 있는 두 일본인까지 만나 정신이 번쩍 들었다. 개념을 안드로메다로 보낸 일본인과는 다른 그들은 명함은 건네면서 이름 알리기를 꺼려했다. 다만 “왕도답지 않은 부여의 규모와 너무 많은 궁녀 숫자”가 인상적이라고 전했다. 낙화암 스케일로도 삼천은 무리라고 본 듯하다.
우수수 지는 꽃잎처럼 강물에 몸을 던진 궁녀들. 분명히 역사적 사실인데 삼국유사 등 어디에도 궁녀 숫자 기록은 없다. JP(김종필)가 현판을 쓴 부여 궁녀사에는 '삼천궁녀들은 적군에게 붙잡혀 몸을 더럽히지 않으려고 낙화암에서 꽃처럼 떨어졌다'고 안내판에 적혀 있었다.
충남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공모전에 뽑힌 '낙화'란 작품을 보면 삼천궁녀는 백제에서 암약하던 스파이 집단으로 그려진다. 허용치를 벗어난 역사적 상상력에 필자라면 감점을 줬다. 백마강으로 떨어진 단 한 사람의 피 끓는 궁녀 이름이 '삼천'이라는 뮤지컬 '삼천'의 상상력 또한 기발하다.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기록으로는 사비성이 함락됐을 당시의 백제 인구가 620만명이었다. 사비성 인구는 4만5000명으로 궁녀 3000명을 먹여 살리기 힘든 구조였다. '3000명의 후궁과 미인' 정도는 관용어처럼 쓰는 중국의 영향일까?
잠시 그 웅장한 허풍을 보자. 삼국지 전투에서 죽은 사람을 합산하면 1억명으로 총인구보다 많다. 삼국지의 삼국은 우리 삼국보다 인구가 적었다. 적벽대전의 백만대군, 삼고초려(三顧草廬)마저 나관중 머릿속의 창작으로 의심받는다. 땀을 30되나 흘렀다며 냉한삼곡(汗三斛)이라 한다. 당진 제철소의 용광로 근무자가 하루 흘린 땀도 10리터를 넘지 않는다.
100m 남짓한 여산폭포를 비류직하삼천척(飛流直下三千尺)이라 한 것은 시적 비유로선 멋지다.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의 3000장은 9㎞에 이른다. 동방삭이도 삼천갑자를 살았다. 우리라고 지지 않는다. 네 말이 천만번 옳다 한다. 천 개의 얼굴, 만 개의 감성을 가진 배우가 등장한다. 천만번의 포옹이라는 문화행사도 열린다. 아주 많은 횟수(ever so many times)가 천만번이다.
붓만 들면 바늘을 대들보로 만드는 조선 시인의 필법으로 삼천궁녀는 식은 죽 먹기였다. 역사상 궁녀 수는 조선 세종 때 100명 미만, 인조 때 230명, 영조 때 684명이었다. 백제의 궁녀를 최대 170명으로 어림잡는다면 '백칠십궁녀'인가. '백제궁녀'로 명명하면 논리적으로나 학리적으로 깔끔할 것이다.
삼천궁녀는 궁녀의 충절보다 의롭고[義] 자애로운[慈] 의자왕의 방탕함이 더 부각된 아이템이다. 명나라 10만 환관을 청나라가 조작했다는 후일담처럼 신라나 일제가 부풀렸을 수도 있다. '삼천궁녀를 거느린' 보약음식으로 희화화된 현실에 입이 천 개 만 개라도 할 말이 없다. 행사 4일째인 내일(1일) 부소산 궁녀사에서 궁녀제를 지낸다.
논설실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