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고향의 푸른 잔디

  • 오피니언
  • 미디어의 눈

[우난순]고향의 푸른 잔디

[중도시감]우난순 교열팀장

  • 승인 2013-09-12 14:17
  • 신문게재 2013-09-13 21면
  • 우난순 교열팀장우난순 교열팀장
▲ 우난순 교열팀장
▲ 우난순 교열팀장
'Green Green Grass Of Home(고향의 푸른 잔디)'. 톰 존스라는 가수가 있다. 6,70년대 활약한, 파워풀한 가창력과 '딜라일라(Delilah)'를 부를때면 골반을 솜씨있게 돌리며 열창하던 모습이 떠오른다. '고향의 푸른 잔디'는 어릴적 라디오에서 종종 듣던 노래였다. 무슨 뜻인지는 몰랐으나 톰 존스의 매력적인 굵은 목소리와 애절한 멜로디는 마음을 움직이는 어떤 느낌이 있었다. 나중에서야 정말 사연 있는 노래란 걸 알았다.

날이 밝으면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야 하는 한 사형수가 고향의 푸른 잔디와 부모형제, 옛 애인을 만나 행복한 시간을 갖는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현실은 사방이 높은 벽으로 가로막힌 교도소에서 간수와 슬픈 얼굴의 신부가 옆에 서 있고…. 사형수는 죽어서야 비로소 고향에 돌아갈 수 있는 운명이라는 노래다.

고향을 생각할 때 우리가 받는 느낌은 대체로 오래된 날들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고향에 대해 친근한 감정을 품는다. 어떤 이에게는 고통의 공간일 수도 있겠으나 대개는 아주 깊은 정을 품고 늘 고향의 포근함을 그리워한다. 고향에 대한 내 기억창고의 첫 페이지에는 하나의 장면이 선명하게 자리잡고 있다. 10살때의 추석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예전 시골의 명절은 고향을 찾은 사람들로 동네가 왁자지껄하고 흥겨웠다.

하지만 그해 추석, 우리집은 썰렁했다. 대전에서 직장을 다니던 큰 언니가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언니가 사오는 새옷도 없었고 온갖 신기한 과자와 사탕이 들어있는 선물세트도 없었다. 난 풀이 팍 죽어 도무지 신명이 안 났다. 무엇보다 언니의 냄새, 달콤한 분냄새를 그리워했는데 말이다. 추석날 밤 늦게까지도 언니가 내 이름을 부르며 대문 밖에서 들어올 것만 같았다. 숙제를 하면서도 멀리서 개짖는 소리가 들리면, 부리나케 문틈으로 가로등 불빛이 희미하게 비치는 담장밖을 뚫어져라 바라보기를 수없이 반복했다. 엄마 아버지는 그런 나를 보시고 아무 말씀도 안하셨다.

한국인에게 고향은, 자란 곳이거나 떠나온 곳이거나 돌아가야 할 곳이다. 고향을 일찍이 떠난 이들은 힘든 처지에 놓이거나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할때, 거의 본능적으로 고향을 찾고 싶어한다. 특히 식민지 경험, 해방, 분단 그리고 6·25전쟁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겪은 우리에겐 해외 곳곳에 흩어져 사는 '디아스포라(이산·離散)'가 존재한다.

윤이상에게 고향은 어쩌면 고통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이었을지 모른다. 통영은 그가 그토록 그리워하면서도 끝내 돌아갈 수 없었던 고향이었다. 민족분단의 살벌한 현실은 그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생존 시 세계 최고의 작곡가로 인정받았지만 한국은 가장 순수했던 음악가를 가장 정치적인 인물로 변형시켰다. 박정희 정권의 정치 이데올로기는 이른바 '동백림 간첩단의 두목'이란 죄를 뒤집어 씌워 오랫동안 한국에서 그의 이름은 '금기'가 되었다. 루이제 린저가 '상처받은 용'이라 칭했던 윤이상은 이역만리 베를린에서 이승에서의 삶을 다할 때까지 고향 통영 바다를 다시는 볼 수 없었다.

올해도 어김없이 추석이 다가온다. 지금 나라 안은 벌집을 쑤셔놓은 듯 소란스럽다. '폴란드 망명정부의 지폐'처럼 가치를 잃은 이념과 사상대립은 국민들의 신경세포를 마구 건드리고 있다. 정치가를 비롯한 권력자들은 본질을 벗어난 문제로 각자의 이권을 챙기기에 여념이 없다. 그런 와중에 남북이 오는 25일부터 이산가족상봉행사를 연다. 2010년 11월 이후 3년만에 재개됐다. '이산'의 삶을 사는 실향민에게 고향은 유전자에 각인된 뿌리찾기의 상징이다.

허나 누구라 해도 다시는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다. 고향은 한사코 떠나는 곳이다. 떠나기 위해 거기 있는 것이다. 떠나와서 병이 날 정도로 그리워하는 곳이지만 이제 다시 돌아가 살기에는 어렵게 되어 버린 곳이다. 사라진다는 것이 무엇인지, 소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나는 알았다. 그것은 단지 나뿐이었다. 내가 살던 옛집은 퇴락하긴 했으나 그대로일 것이다. 늙은 배나무와 뒤꼍 대숲도 아직 남아있을 것이다. 다만, 산 너머 멀리 무지개를 꿈꾸던 10대 소녀의 마음이 더럽고 황폐해진, 쓸쓸한 중년의 여인이 되어 기웃거릴 뿐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유성 둔곡 A4블록 공공주택 연말 첫삽 뜨나
  2. 12월부터 5인승 이상 자동차 소화기 설치 의무화
  3. [기고] 공무원의 첫발 100일, 조직문화 속에서 배우고 성장하며
  4. ‘우크라이나에 군사지원·전쟁개입 하지 말라’
  5. JMS 정명석 성범죄 피해자들 손해배상 민사소송 시작
  1. 대전보건대, 대학연합 뉴트로 스포츠 경진·비만해결 풋살대회 성료
  2. 대전 유통업계, 크리스마스 대목 잡아라... 트리와 대대적 마케팅으로 분주
  3. 한국자유총연맹 산내동위원회, '사랑의 반찬 나눔' 온정 전해
  4. 구본길에 박상원까지! 파리 펜싱 영웅들 다모였다! 대전서 열린 전국 펜싱대회
  5. 대전시, 여의도에 배수진... 국비확보 총력

헤드라인 뉴스


"뜨끈한 한 끼에 마음도 녹아"… 함께 온기 나누는 사람들

"뜨끈한 한 끼에 마음도 녹아"… 함께 온기 나누는 사람들

27일 낮 12시께 눈발까지 흩날리는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대전 중구 한 교회의 식당은 뜨끈한 된장국에 훈훈한 공기가 감돌았다. 식당 안에서는 대전자원봉사연합회 소속 자원봉사자들이 부지런히 음식을 나르며 어르신들을 대접하고 있었다. 150여 명의 어르신이 빼곡히 마주 앉아 담소를 나누며 식사를 기다렸다. 얇은 패딩과 목도리 차림인 어르신들은 강한 바람을 뚫고 이곳까지 왔다고 한다. "밥도 같이 먹어야 맛있지." 한 어르신이 식당에 들어서자 자원봉사자가 빈자리로 안내했다. 이곳에 오는 대부분은 75세 이상의 독거 노인이다. 매일 혼..

"홈 승리하고 1부 간다"… 충남아산FC 28일 승강전 홈경기
"홈 승리하고 1부 간다"… 충남아산FC 28일 승강전 홈경기

창단 후 첫 K리그1 승격에 도전하는 충남아산FC가 승강전 홈경기를 앞두고 관심이 뜨거워 지고 있다. 충남아산FC는 28일 대구FC와 승강전 첫 경기를 천안종합운동장에서 홈 경기로 치른다. 홈 경기장인 아산 이순신종합운동장 잔디 교체 공사로 인해 임시 경기장으로 천안에서 경기를 하게 됐다. 승강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28일 홈 경기 사흘 후인 12월 1일 대구로 이동해 어웨이 경기를 치른다. 승리수·합산 득실차 순으로 최종 승격팀을 정하게 되며 원정 다득점 규정은 적용하지 않아 1·2차전 결과에 따라 연장전 또는 승부차기까지..

충청권 4개시도 "2027 하계U대회 반드시 성공"… 제2차 위원총회
충청권 4개시도 "2027 하계U대회 반드시 성공"… 제2차 위원총회

충청권 4개 시도가 2027년 열리는 하걔세계대학경기대회 성공 개최를 재차 다짐했다.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강창희, 이하 조직위)는 27일 대전 호텔 ICC 크리스탈볼룸에서 2024년 제2차 위원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총회는 지난 3월 강 위원장이 조직위원장으로 취임한 이후 처음 개최된 것이다. 행사에는 대전시 세종시 충남도 충북도 등 충청권 4개 시도 부지사와 대한체육회 부회장, 대한대학스포츠위원회 위원장, 시도 체육회장, 시도의회 의장 등이 참석했다. 강 위원장과 조직위원회 위원이 공식적으로 첫..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거리 나설 준비 마친 구세군 자선냄비 거리 나설 준비 마친 구세군 자선냄비

  • 12월부터 5인승 이상 자동차 소화기 설치 의무화 12월부터 5인승 이상 자동차 소화기 설치 의무화

  • 첫 눈 맞으며 출근 첫 눈 맞으며 출근

  • 가을의 끝자락 ‘낙엽쌓인 도심’ 가을의 끝자락 ‘낙엽쌓인 도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