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층만의 특권 교육기관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교조의 공세에 이같은 걱정은 기우에 불과하다며 교육 당국이 반박하는 식이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6일 성명서를 내고 “타 시·도 공립 국제중·고 현실을 진단하고, 대전에 설립 타당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전지부에 따르면 대전 국제중은 학년당 4학급 100명(일반전형 및 귀국자 자녀 80명, 사회통합전형 20명)을 선발한다. 외국인 학생 25명 등 정원 외 30명은 별도다.
국제고는 학년당 6학급 150명(일반전형 120명, 사회통합전형 20명)을 뽑고 외국인 학생 30명은 별도로 선발한다.
이와 관련, 대전지부는 “(시교육청이)국제고 모양새를 갖추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눈에 띄지만 본질적으로는 극소수 엘리트를 위한 특권 교육기관이라는 측면에서 부산 국제중·고나 세종국제고와 전혀 다를 바가 없다”고 핏대를 세웠다.
대전지부에 따르면 부산 국제중은 학년당 60명 정원에 귀국자 전형이 12명(정원 외 5명 별도)에 불과하고 학년당 160명인 국제고는 부산 또는 국제고가 없는 타 시·도 중학생들로 채워진다. 세종 국제고는 일반(70명), 지역우수자(10명), 사회통합(20명) 등 모두 5학급 100명을 선발하며 정원 외 귀국자전형은 3명에 불과하다.
전교조 대전지부의 주장에 대해 시교육청은 지나친 걱정이라며 일축하고 있다. 타 도·시에 비해 연구개발 인프라가 월등해 외국인 자녀 등의 수요가 충분하다는 논리다. 결코, 외국인 없는 대전 국제 중·고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또 서울 영훈국제중 사례처럼 일부 부유층의 특권교육기관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한 준비도 병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대전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각종 출연연이 밀집한 대덕특구가 과학벨트가 조성될 경우 외국인 자녀가 많이 들어오게 돼 (전교조 주장처럼) 염려할 정도는 아니다”며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 등과 연계해 국제중·고 위상에 걸맞은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 국제중·고는 2015년 3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지구 내에 개교할 예정이었지만 과학벨트 사업 논란으로 개교 시점과 부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