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개발이 완료됐거나 진행 중인 곳은 겨우 50%를 넘어섰다. 절반은 착수조차 못했다. 충북과 강원은 새로 경제자유구역에 추가됐다. 8개 지역 101개 지구 중 8개 지구는 문 닫고, 11개 지구가 빨간불(미흡) 판정으로 존폐의 도마 위에 올라 있다.
충남이 포함된 황해경제자유구역도 예외가 아니다. 막대한 경제 파급효과와 도내 균형발전 교두보로서 기세 좋게 출발했을 때와 대조적이다. 당초 기대한 싱가포르 모델은 꿈도 못 꾸고 사활을 걱정할 만큼 존재감을 잃었다. 가능성 있는 사업으로 만들려면 특단의 출구전략이 절실한 시점이다.
구조조정의 판단 기준은 경제자유구역이 본래 기능을 할지 여부가 될 수밖에 없다. 외국인 투자를 전제한 경제자유구역이 지난 10년 통틀어 전체 70억달러를 못 넘고 있다. 이미 58조원 이상이 투입된 사업이 이렇다. 싱가포르가 한 해 유치한 외국 자본의 10분의 1 수준이면 뾰족히 대응할 묘책이 없을 듯하다.
황해경제구역 개발사업은 '천문학적인' 생산유발효과 외에 수도권(경기)과 비수도권(충남) 상생 모델로도 각광 받았다. 하지만 장기 표류 끝에 사업 면적 71.3%가 축소됐다. 이제 지원은 늘리되 개발이 부진하면 과감히 정리한다는 원칙의 적용을 받는다. 15~20년 짜리 장기 프로젝트지만 미래 비전이 적다면 사업을 접는 게 옳을 수도 있다. 실제로 정부는 내년 8월을 시한으로 정했다.
사례에 비춰 82조원을 추가 투입해도 70% 이상 외국기업으로 넣겠다는 처음 계획은 무리다. 입주한 93%가 국내기업인 현실을 반영해 같은 투자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 충남은 또 지가 인하와 리스크 완화에 우선 집중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 해법이란 각오로 좋은 개발 사업자를 찾아 태동도 못하고 지정해지 수순을 밟는 비운을 겪지 않길 바란다. 최소한 인천, 광양, 부산의 경제자유구역 수준은 돼야 경쟁력을 말할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