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기류나 내용으로 볼 때 과학벨트 충청권 공조가 2년 만에 균열된 셈이다. 수정안을 둘러싼 반발 수위가 예사롭지 않았다. 협의체의 앞날을 낙관하기 힘들게 됐다. 정기국회에 앞서 서해유류사고 피해 대책, 미래부와 해수부의 정부세종청사 입지 확정, 충청권철도 조기 착공, 청주공항 활주로 확장 등 공동 대처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갈등을 안은 채 산적한 현안에 함께 다가갈 수 없다.
지역 발전을 위한 현안 해결과 예산 확보, 때로는 정부에 대한 효과적인 '압박'을 위해 정치권과 자치단체가 조율할 유일무이한 협의 기구가 관정 협의체다. 골이 더 깊어져서는 안 된다. 입장과 처지는 다르지만 “500만 충청인의 투쟁으로 지켜낸 것”이라는 과학벨트에 대한 기본 인식은 같다고 본다.
본격적인 충청 연대를 시도하기도 전에 관정 협의체가 균열 또는 와해되어서는 안 된다.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 등 앞으로 만날 일이 잦을 것이다. 과학벨트가 정쟁의 도구가 될 수 없는 것처럼 충청권 지역 갈등의 대상일 수 없다. 비판하고 성토할지언정 이 때문에 지역 여론이 갈리는 것은 누구에게도 득이 되지 않는다.
걸음마도 제대로 못 뗀 과학벨트 구축이 완료될 시점까지 실질적인 공조 효과를 내려면 전력을 다해도 시간이 모자라고 힘이 부칠 판이다. 충청권의 영원한 현안인 과학벨트 외에 하반기 다른 충청권 현안에 대한 공동건의와 협의, 대응은 계속돼야 할 것이다. 16일 협의체 회의는 그런 점에서도 무척 실망스럽다.
지적한 대로 충청권에는 함께 다뤄야 할 미완의 현안들이 수북이 쌓여 있다. 지역 정치권의 '네 탓 공방', 시·도 간 감정 대립과 앙금을 조기에 봉합해야 할 이유다. 반쪽이 된 회의에서 '며느리 밉다고 쪽박을 깰 수 없다'는 비유까지 나왔다. 대승적 자세로 충청권 자치단체 간, 정당 간 균열이 생긴 관정 협의체를 온전히 복원하는 것이 첫 번째 할 일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