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월에는 아욱과 콩을 삶고,
팔월에는 대추를 털고,
시월에는 벼를 수확하며,
이것으로 봄 술을 빚어 어른을 봉양하고,
칠월이 되면 오이를 먹고,
팔월에는 박을 타고,
구월에는 삼씨를 줍고,
씀바귀 뜯어 나물을 짓고,
가죽나무 섭치로 장작을 패어,
우리 농부들 그윽하게 먹여 보려 하노니…
六月食鬱及薁(유월식울급욱), 七月烹葵及菽(칠월팽규급숙), 八月剝棗(팔월박조),
十月穫稻(시월확도), 爲此春酒(위차춘주), 以介眉壽(이개미수), 七月食瓜(칠월식과),
八月斷壺(팔월단호), 九月叔苴(구월숙저), 采荼薪樗(채도신저), 食我農夫(사아농부).
鬱(울): 아가위(山査) 울
薁(욱): 머루 욱
葵(규); 아욱 규
菽(숙): 콩 숙
烹(팽): 삶을 팽(원전에는 <亨>으로 표기)
壺(호): 박 호
叔(숙): 주을 숙
苴(저): 열매여는 삼 저
荼(도): 씀바귀 도
薪(신): 땔 나무 신
樗(저): 가죽나무 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