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미래창조과학부의 협약체결 이후 대전시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무엇일까?'
시는 지지부진했던 과학벨트 문제와 20년째 답보상태였던 엑스포과학공원, 창조경제 전진기지라는 '1석3조'의 실마리를 찾았다는 기대감이 크다.
반면, 지역 정치권에서 과학벨트 문제를 놓고 '원안사수'와 '수정안 찬성' 사이에서 일치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어,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아 '공조'해야 얻을 수 있는 국가사업에 악재가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과학벨트, 계획 확정후 2년째 답보… 부지매입비 논란 불식
과학벨트는 2011년 기본계획 확정이후 2년동안 난항을 겪어왔다. 당초 기본계획상 세워야 하는 예산의 43%만 지원하는가 하면, 7200억원에 이르는 부지매입비에 대해 지자체인 대전시가 절반을 부담하라며 예산을 세우지 않았다.
정부의 과학벨트 추진 의지가 없다며 지역 원성이 컸지만, 이번 협약으로 부지매입비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엑스포, 12회 용역 무산… 정부투자 등 재창조 가능성 열어
대전시는 엑스포재창조를 위해 12차례 용역을 수행했으나 모두 무산됐다. 롯데테마파크 조성 등을 통한 대안제시에 대해서도 특구개발계획 수립 권한을 가진 정부의 반대로 사실상 추진이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그동안 정부의 무관심과 재원부족 등으로 20년간 사실상 방치된 엑스포과학공원이 정부의 특구개발계획 수립과 재정투자로 새롭게 재창조 될 수 있는 가능성도 열었다.
▲창조경제, 새정부 정책기조 일치 제2의 국책사업 따낸 효과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를 새로운 정책기조로 내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대덕특구를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조성하겠다는 협약은 시 입장에서는 또다른 국책사업을 따낸것과 다름없는 상황이다.
정부가 대덕특구에 투자를 하게 될 경우 벤처창업이 촉진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 국가의 신성장 동력 거점화라는 선순환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다.
그동안 대전지역이 만성적인 산업용지 부족에 시달려 왔으나 기초과학연구원(IBS) 조성예정지(약 16만평)를 산업용지로 조성해 특구내 부족한 산업용지 해소에 도움을 주고, 창조경제 관련 첨단기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20년간 시민공간으로 활용됐던 엑스포공원을 IBS와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시는 기존 엑스포기념공간 13만㎡(4만평), 영상산업단지 3만3000㎡(1만평), HD드라마타운 6만6000㎡(2만평) 외에 추가로 사이언스센터 6만6000㎡(2만평), IBS의 과학체험·전시 및 녹지공간 약 3만3000㎡~6만6000㎡(1만~2만평) 등이 확보돼 엑스포과학공원의 시민활용 공간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선희 시 과학문화산업본부장은 “앞으로 구성될 실무협의회 등을 통해 협약의 원활한 이행은 물론 대덕특구가 명실상부한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육성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