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이하 아파트 줄어, 대전은 5년새 62% ↓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1억이하 아파트 줄어, 대전은 5년새 62% ↓

매물부족·개발호재에 매매가 상승

  • 승인 2013-06-19 18:59
  • 신문게재 2013-06-20 8면
  • 백운석 기자백운석 기자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1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수가 2008년 이후 5년 만에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매물 부족에 개발호재 등으로 아파트 매매가가 상승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가 6월 2주차 시세를 기준으로 매매가 1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2008년 128만7048가구에서 2013년 68만6427가구로 무려 60만621가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이후 5년 새 46.6%가 줄어든 수치다.

특히 부산을 비롯해 울산, 대전, 경남, 대구는 2008년 대비 1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수가 절반 이상 크게 감소했다.

이 같은 현상은 매매가 상승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지방 부동산 시장은 수도권과 달리 2008년 이후 줄곧 상승세를 이어왔다. 공급물량이 크게 줄면서 매물부족 현상이 나타난데다 지역별로 개발호재까지 더해지며 매매가 상승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이 2008년 16만2252가구에서 2013년 3만5826가구로 78%(12만6426가구)가 줄었다.

부산은 센텀시티, 마린시티 및 해운대 리조트사업 등 개발호재로 2010~2011년 청약불패신화를 이어가며 분양시장 호황기를 보냈다. 매매시장 역시 매물부족과 분양시장 훈풍으로 주변 지역까지 시세가 상승했다.

우정혁신도시 영향으로 실수요와 투자수요가 늘어난 울산은 2008년 5만3393가구에서 2013년 1만6617가구로 69%(3만6,776가구) 감소했다.

세종시와 과학벨트지정 등 개발호재와 함께 수급불균형으로 매매가가 오른 대전은 1억원 이하 아파트가 2008년 7만1249가구에서 2013년 2만6905가구로 62%(4만4344가구)가 줄었다.

경남은 2008년 14만9349가구에서 2013년 6만5372가구로 56%(8만3977가구)가 감소했고,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발판으로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대구도 2008년 11만371가구에서 2013년 4만9462가구로 55%(6만909가구)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세종시는 2008년 3701가구에서 2013년 2297가구로 38%(1404가구), 충남은 9만405가구에서 6만2797가구로 31%(2만7608가구), 충북은 8만5858가구에서 5만1686가구로 40%(3만4172가구)가 각각 감소했다.

부동산 써브는 “최근 지방 부동산 시장도 보합세를 보이며 다소 주춤해진 상태이나 1억원 이하 아파트 가구 수 감소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지방의 경우 전세난으로 세입자들이 소형 저가 아파트 매매로 선회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혁신도시 및 기업도시 등 국가균형발전 정책에 따른 개발 호재가 남아있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백운석 기자 bw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대전 대기업 유치, 겉도는 헛바퀴
  2. 철도지하화 발표 코앞… 대전 파급력 등 평가 긍정적 기류
  3. 대전 상장기업 64개 넘어...올해도 달린다
  4. 대전시의회 조원휘 "안산산단 9부 능선 넘어"… 불필요한 책임공방 무의미
  5.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1. [오늘과내일] 역사 속 을사년
  2.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3. 2025 대전 사회복지계 신년교례회 개최
  4. 더불어민주당 각급 위원회 발대식 "민주주의 회복과 사회대개혁 앞장"
  5. 세계로 가는 수자원공사 중동이어 아프리카 시장 진출

헤드라인 뉴스


자원봉사·CCTV 확대 ‘졸속’… 학교안전 근본대책 마련을

자원봉사·CCTV 확대 ‘졸속’… 학교안전 근본대책 마련을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생 피습 이후 돌봄교실 안전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근본적인 학교 안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사건 이후 대책으로 발표한 자원봉사자 배치로는 현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인력과 예산을 투입한 실질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전본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는 17일 오전 각각 대전교육청 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청의 근본적 학교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현재 돌봄전담사는 오후 7시까지 혼자서 돌봄교실..

대형마트 휴업 평일전환 시 상권매출 3% 상승… 대전 휴일전환 힘 받나
대형마트 휴업 평일전환 시 상권매출 3% 상승… 대전 휴일전환 힘 받나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이 주말에서 평일로 전환할 경우 인근 상권 평균 매출이 3%대로 상승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답보 상태인 대전 대형마트 평일 휴업 전환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다만, 이해 당사자인 노동자 등은 반대 의견을 강하게 내고 있고, 정치권에서도 의무 휴업일을 평일보단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 등이 발의되면서 시일이 다소 걸릴 전망이다. 17일 산업연구원의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 변화와 경제적 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마트 주말 영업은 주변 상권에 평균 3.1% 수준의 매출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연구원은..

`충청광역연합’ 정부재정 필수… 민주당 충청의원들 법안 발의
'충청광역연합’ 정부재정 필수… 민주당 충청의원들 법안 발의

대전과 세종, 충남·북이 함께 출범한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광역연합'의 재정 지원 근거를 마련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송재봉 의원(충북 청주청원)이 17일 대표 발의한 지방교부세법 일부개정법률안으로, 대전과 세종, 충남·북 국회의원들이 대거 공동 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개정안의 핵심은 지방교부세법 제2조 제2호에 두 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추가해 충청광역연합도 지방교부세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내용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특별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