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갈등관리위 실패의 첫째 이유는 민관 소통과 공공갈등 해결사로서의 체질을 구비하지 못한 점이다. 새 위원회가 가장 신경 쓸 부분이 바로 지방자치단체 간, 지자체와 사업자 혹은 주민 간 벌어지는 갈등 방지와 해결에 적합한 체질 개선이다. 안 그러면 언제든 있으나마나한 위원회로 전락하기 마련이다. 지난 위원회의 전철을 밟지 않고 제 구실을 다해야 한다.
다만 갈등관리 시스템의 효율적 작동은 위원회 의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심의와 자문 이상의 기능, 즉 상시적 협의 조정과 중재 기능 같은 구체적 역할에서는 더 그렇다. 충남도나 도의회 차원에서도 갈등관리를 주요 도정과제로 설정해야 힘을 받는다. 위원회 스스로 갈피를 못 잡으면서 관관 갈등과 민민 갈등을 다룬다는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공공정책 수립과 결정 과정에 참여를 확대하는 한편, 갈등영향 분석 등을 통해 불통(不通) 행정을 없애야 갈등 발생 감소는 물론 조정 및 해결 비용이 감소된다. 사전 협의와 주민 동의 절차로 정책 수용성을 높이면 갈등을 줄이고 행정 신뢰도 또한 높일 수 있다. 첫 회의에서 논의된 갈등관리 도민배심원제는 활용하기 나름이다.
현재 충남도내에는 KTX 천안·아산역사 택시사업 구역,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설, 보령~서천 부사간척지 경계 설정 관련 갈등을 비롯해 해를 넘겨서도 접점이 안 보이는 현안이 부지기수다. 행정력의 한계를 지역주민, 환경·시민단체와 거버넌스(협치)를 통해 메울 방법까지 아울러야 할 시점이다.
새로 구성된 위원회는 곪아터질 때를 기다리는 사후적 대응보다 선(先) 갈등 해소라는 선제적 대응을 활동 원칙으로 세우기 바란다. 정책입안 전 단계에서 정책 결정까지 충남도의 사전검토 강화,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도의회의 역할 강화를 끝으로 강조하고자 한다. 갈등관리심의위원회부터 갈등 없이 잘 운영되는 것도 중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