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2단계 정부세종청사 준공일은 11월16일로,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등 6개 부처와 소속 12개 위원회 이전계획은 연말 완료를 목표로 수립된 상태다.
하지만 정부부처 노조의 새집증후군 등 청사환경 개선 요구에 따라, 2개월 연기안도 조심스레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단계 이전 당시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수치가 3개월 가까이 기준치를 초과했던 경험에서다.
상식적으로는 납득 가능한 연기 주장이지만, 세종시의 안정적 성장 가도에 찬물을 끼얹을 수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부처 이전시기에 맞춰 준비되고 있는 주변 아파트 및 상가 입주 시기, 각종 인프라 구축이 차질을 빚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B정부 수정안 논란 후 잃어버린 10개월 등 정부 정책 신뢰도에 금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전행정부는 준공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는 한편, 입주 전부터 베이크아웃과 플러시아웃을 철저히 진행해 기준치를 충족하겠다는 입장이다. 베이크아웃은 실내온도 30℃ 이상 건조후 공기배출 방식, 플러시아웃은 공조환기 방식을 의미한다. 또 1단계때 문제시된 개별 사무실별 리모델링 등으로 인한 공사를 10월 중에 마무리짓고, 각종 가구도 사전에 배치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친환경자재 사용도 최대한 유도하고 있다.
새집증후군으로 인한 연기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않고, 신설부처로 아직 이전계획을 확정치 못한 해양수산부와 미래창조과학부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해수부는 정부세종청사, 미래창조과학부는 과천청사에 각각 임시 둥지를 튼 상태다. 지난해 흐름이라면 이미 2단계 이전 대상기관 이사일정이 확정, 공표되어야했다. 실제로 국무총리실 등 1단계 정부부처 이전 시기는 2011년 말 세종시 지원위원회를 통해 확정한 바 있다.
하지만 새정부 출범 초기라는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해수부와 미래부 이전 시기 및 대상지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미래부의 경우 조직 구성원의 절반 가까이가 방송통신위원회 공무원이고 방통위가 최초 정부부처 이전 대상기관에 포함되지 않은 만큼, 과천에 잔류해야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반면 또 다른 절반이 옛 교과부와 국과위, 지경부, 문화부 등 소속 직원들인 만큼, 세종청사 입주가 당연하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김정민 세종시 지원단장은 “아직 정부 차원의 확정된 안은 없다”며 “과천 지역에서는 공동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가적으로 최선안을 찾아가는 과정이니 기다려달라”고 당부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