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지속적인 한의학 세계화 전략 필요하다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김동수]지속적인 한의학 세계화 전략 필요하다

[사이언스 칼럼]김동수 한국한의학硏 연구원

  • 승인 2013-05-15 14:23
  • 신문게재 2013-05-16 21면
  • 김동수 한국한의학硏 연구원김동수 한국한의학硏 연구원
▲ 김동수 한국한의학硏 연구원
▲ 김동수 한국한의학硏 연구원
최근 중국 정부의 중의학 세계화 추진이 거세다. 중국은 2010년 중의 침구(針灸), 2011년에는 중의학의 오랜 고전인 황제내경과 본초강목을 동시에 유네스코 유산에 등재시키는데 성공했다. 이는 2009년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이 전통의서로는 처음으로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되자 자존심이 상한 중국의 반격이다. 중국은 이처럼 국가적으로 중의학이 문화·산업·보건적 활용도가 높음을 깨닫고 중의학에 지속적인 지원을 해왔으며, 최근에는 중의학의 세계화를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 오고 있다.

산업적 측면에서 중국은 중약의 세계화를 위해 끊임없이 범정부 차원에서 노력해 왔다. 1997년 국무원의 '중약현대화 과학기술산업계획'에서 시작된 중국의 중약산업 발전 계획은 중약현대화를 통해 글로벌한 중약신약을 개발함으로써 세계시장 진출을 목표로 삼고 있다. 오랜 기간에 걸친 지원을 통해 중국은 현재 매출액 1조원이 훨씬 넘는 중약제약회사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중약 중 하나인 '단삼적환'의 미국 FDA 3상 임상시험 진행 등 유망한 중약에 대해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중의약 서비스산업에 대해서도 중국정부는 2012년 '중의약 서비스 무역발전에 관한 의견'을 제출하면서 전세계에 퍼져있는 약 4000만명의 화교를 바탕으로 중의의료기관, 중의학 대학 등을 활용해 의료 및 양생·재활서비스, 교육, 과학연구 등의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수출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중국은 세계 전통의학 강국으로 인정받기 위해 2008년 세계 전통의학 보건체계 강화를 위한 선언인 WHO의 '베이징선언(Beijing Declaration)'이 채택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국제 표준화기구(ISO)의 전통의학 부문인 TC249 명칭을 TCM(Traditional Chinese Medicine)으로 제안하는 등 전통의학 표준을 중의학 중심으로 이끌고 있다. 또한, 다국적 기업의 전통지식 사용 시 이익공유가 가능하도록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를 통해 외교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통의학 종주국으로써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위한 중국의 노력은 정치·문화적인 필요성 뿐만 아니라, 중의학에 대한 국제 브랜드를 구축하고 중의약 산업의 세계시장 진출을 용이하게 하여 세계전통의학 시장 선점 계획과도 맞물려 있다.

다방면에서 추진되고 있는 중국의 중의학 세계화는 우리나라 한의학에게는 위협이 되고 있다. 중의학은 한의학보다 앞서 세계 전통의학의 제품 및 서비스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문화적으로는 세계 전통의학을 중의학(TCM)의 범주로 포함시키려 노력하여 한의학의 세계적 브랜드화를 막아서는 것은 물론 정체성마저 흔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외에서만 벌어지는 것은 아니다. 한중FTA, 나고야의정서 등 국제적인 협약에 의해 중의학은 국내 한의학 시장도 진입할 기회를 엿보고 있다.

다행히 한의학 세계화가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중의학에 대응할 한의학 세계화 정책 추진의 기회를 얻었다. 한의학 세계화를 위해서는 산업, 서비스, 문화 등 분야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취약한 한의약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보험확대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의료서비스 세계화를 위한 첫걸음이 될 한방의료관광, ODA(공적개발원조)에서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허준, 대장금의 뒤를 이을 한의학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한의학만의 고유한 영역인 사암침, 사상의학에 대한 문화유산 등재 등을 통해 문화적 측면에서의 세계화도 추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의학 세계화를 총괄적으로 지휘할 컨트롤타워를 만들어 산업체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세계화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지속가능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한의학 세계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중의학 세계화가 수십 년 전부터 계획되고 지원되어왔던 정책임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 하에 중의학의 세계화는 실질적인 실력과 세계적인 경쟁력이 뒷받침되어 추진되고 있다.

중의학에 대응한 한의학 세계화를 위해 지속적인 지원과 정책이 일관적으로 추진된다면 세계 전통의학 시장에서 한의학이 새로운 한류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동 고깃집에서 화재… 인명피해 없어(영상포함)
  2. 대전 재개발조합서 뇌물혐의 조합장과 시공사 임원 구속
  3. [현장취재]대전MBC 2024 한빛대상 시상식 현장을 찾아서
  4. aT, '가루쌀 가공식품' 할인대전 진행
  5. 국립농업박물관, 개관 678일 만에 100만 관람객 돌파
  1. 대전 사립대 총장 성추행 의혹에 노조 사퇴 촉구…대학 측 "사실 무근"
  2. 농림부, 2025년 연구개발 사업 어떤 내용 담겼나
  3. 제27회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대상, 10월 28일 열린다
  4. 사회복지법인 신영복지재단 대덕구노인종합복지관, 저소득어르신에게 쌀 배분
  5. 농촌진흥청, 가을 배추·무 수급 안정화 지원

헤드라인 뉴스


‘119복합타운’ 청양에 준공… 충청 소방거점 역할 기대감

‘119복합타운’ 청양에 준공… 충청 소방거점 역할 기대감

충청권 소방 거점 역할을 하게 될 '119복합타운'이 본격 가동을 시작한다. 충남소방본부는 24일 김태흠 지사와 김돈곤 청양군수, 주민 등 9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19복합타운 준공식을 개최했다. 119복합타운은 도 소방본부 산하 소방 기관 이전 및 시설 보강 필요성과 집중화를 통한 시너지를 위해 도비 582억 원 등 총 810억 원을 투입해 건립했다. 위치는 청양군 비봉면 록평리 일원이며, 부지 면적은 38만 8789㎡이다. 건축물은 화재·구조·구급 훈련센터, 생활관 등 10개, 시설물은 3개로, 연면적은 1만 7042㎡이다..

대전 사립대 총장 성추행 의혹에 노조 사퇴 촉구…대학 측 "사실 무근"
대전 사립대 총장 성추행 의혹에 노조 사퇴 촉구…대학 측 "사실 무근"

대전의 한 사립대학 총장이 여교수를 성추행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경찰이 수사에 나선 가운데, 대학노조가 총장과 이사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대학 측은 성추행은 사실무근이라며 피해 교수 주장에 신빙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전국교수노동조합 A 대학 지회는 24일 학내에서 대학 총장 B 씨의 성추행을 고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성추행 피해를 주장하는 여교수 C 씨도 함께 현장에 나왔다. 선글라스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C 씨는 노조원의 말을 빌려 당시 피해 상황을 설명했다. C 씨와 노조에 따르면, 비정년 트랙 신임 여교수인 C 씨는..

[르포] 전국 최초 20대 자율방범대 위촉… 첫 순찰 현장을 따라가보니
[르포] 전국 최초 20대 자율방범대 위촉… 첫 순찰 현장을 따라가보니

"20대 신규 대원들 환영합니다." 23일 오후 5시 대전병무청 2층. 전국 최초 20대 위주의 자율방범대가 출범하는 위촉식 현장을 찾았다. 김태민 서대전지구대장은 마을을 지키기 위해 자원한 신입 대원들을 애정 어린 눈빛으로 바라보며 첫인사를 건넸다. 첫 순찰을 앞둔 신입 대원들은 긴장한 기색이 역력했고, 맞은 편에는 오랜만에 젊은 대원을 맞이해 조금은 어색해하는 듯한 문화1동 자율방범대원들도 자리하고 있었다. 김태민 서대전지구대장은 위촉식 축사를 통해 "주민 참여 치안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자율방범대는 시민들이 안전을 체감하도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애인 구직 행렬 장애인 구직 행렬

  • 내일은 독도의 날…‘자랑스런 우리 땅’ 내일은 독도의 날…‘자랑스런 우리 땅’

  • 놀면서 배우는 건강체험 놀면서 배우는 건강체험

  • 서리 내린다는 상강(霜降) 추위…내일 아침 올가을 ‘최저’ 서리 내린다는 상강(霜降) 추위…내일 아침 올가을 ‘최저’